27일 SK그룹에 따르면 지주회사인 SK㈜가 의료·헬스케어 사업을 담당하는 라이프사이언스(생명과학) 사업부의 분사를 검토 중이다.
S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K그룹 관계자는 “지주회사가 신사업을 품어 키운 다음 자생력이 갖춰지면 분사하는 것이 그룹의 전략 방침”이라면서 “라이프사이언스 부문 역시 같은 맥락에서 분사를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구체적으로 언제 분사가 이뤄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분사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라이프사이언스 사업부의 분사 검토는 최근 SK㈜가 국내 최대 의료기기업체인 메디슨 인수 경쟁에 뛰어든 것과 맞물려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SK그룹이 의료·헬스케어 사업 육성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와 관련해 SK그룹 관계자는 “메디슨 인수의향서를 낸 주체는 SK㈜가 맞지만 본격적인 인수 작업을 어느 계열사가 맡을 것인지는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현재 SK그룹 내에서 SK㈜의 라이프사이언스 사업부 외에도 SK케미칼이 신약 및 백신 개발 사업을 하고 있다.
SK그룹은 3대 핵심 신규사업 분야 중 하나인 ‘산업혁신기술 개발’에 헬스케어와 바이오사업을 포함시켜 2020년까지 8조 80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일각에서는 SK그룹이 메디슨 인수에 성공하고 의료·헬스케어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면 라이프사이언스, SK케미칼의 바이오 부문, 의료기기 사업을 하나로 묶을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1993년 출범한 라이프사이언스 사업부는 SK㈜와 SK에너지가 분할된 2007년 이전까지 정유·화학 사업부에 속해 있다가 그룹 차원에서 육성한다는 전략에 따라 SK㈜로 편입돼 있었다. 2007년 매출 281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낸 데 이어 지난해에는 매출액 356억원, 영업이익 77억원을 기록했다.
라이프사이언스 사업부는 현재 간질이나 기면증 등 신경성질환 관련 신약 개발과 의약품 중간물질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에이즈 치료제 중간물질, 심혈관 치료제 중간물질 등 40여종의 제품 중 90% 이상이 화이자 등 세계 10대 제약회사에 판매되고 있다.
배기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국내 시장에서 대기업들의 의료·헬스케어 사업에 대한 관심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0-2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