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항공기보다 연료 20% 절감 승객 1명 100㎞ 수송 3ℓ이하
3억 7500만 달러(약 4125억원)라는 천문학적 몸값의 A380은 최첨단 복합 소재를 이용, 경제성과 친환경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A380 항공기에는 항공유가 보통 31만 6272ℓ 들어간다. 이 기름으로 1만 3229㎞를 날아간다. 바람과 기상, 운항 거리 등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ℓ당 0.041㎞를 날아가는 셈. 기존 항공기가 ℓ당 0.05~0.06㎞를 날아가는 것과 비교하면 연비는 좀 떨어진다. 하지만 A380은 다른 항공기보다 한번에 50~200여명을 더 실어나를 수 있으므로 경제성으로 보면 더 낫다는 평가다. 즉 A380은 1㎞를 날아가는 데 2만 1225원의 기름값이 든다. 서울에서 도쿄까지 거리 1160㎞를 날아간다고 봤을 때 2462만 1000원이 들어간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6/13/SSI_20110613015445.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6/13/SSI_20110613015445.jpg)
또 이산화탄소 배출 20%, 이착륙 때 소음영향 40%를 줄였다. A380은 승객 1명을 100㎞ 수송하는 데 경차와 비슷한 수준인 3ℓ 이하의 연료가 사용된다. 기존 항공기보다 20%나 적게 연료가 들어간다. 따라서 서울에서 로스앤젤레스(LA)를 왕복하는 데 기본 항공기 비해 승객 1인당 103ℓ의 연료와 327㎏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는 셈이다. 이는 1년에 33그루의 나무가 흡수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다.
또 A380의 미국 GP7200엔진은 뛰어난 항공 역학 성능으로 이착륙 때 소음을 대폭 감소한 친환경 엔진으로 평가받고 있다.
최첨단 소재로 항공기 크기보다 무게를 줄이고 안전성을 대폭 높였다. A380은 항공기 부품과 기체 40% 정도를 최신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CFRP)와 고급 금속 물질로 만들었다. 특히 날개 주요 부위를 첨단 소재로 만들어 항공기 중량을 크게 줄였다.
동체 상부에 기존 알루미늄 합금판 대신 유리섬유와 알루미늄 합금판을 층층이 결합한 신소재인 ‘글레어 패널’을 사용했다. 이들 특수 섬유 소재를 레이저빔으로 제작했다.
승객의 편안한 여행을 위해 비행기 좌석 간격을 과감하게 넓혔다. 다른 항공사에서 운영하는 A380은 평균 550석 안팎의 좌석이 설치됐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좌석을 407석으로 줄였다. 그만큼 여유 공간이 생긴 것이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6-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