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82% “노후준비 불만족”…저축 부족 탓

직장인 82% “노후준비 불만족”…저축 부족 탓

입력 2011-06-27 00:00
수정 2011-06-27 1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88% “은퇴후 재취업”..은퇴자금 3억~5억원 필요

주택마련자금, 자녀 교육비 등으로 저축 여력이 없는 탓에 대다수 직장인의 노후준비가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자금은 3억~5억원을 원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27일 하나HSBC생명이 SK마케팅앤컴퍼니와 공동으로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한 결과 현재의 노후준비 상황에 대해 ‘불만족스럽다’는 답변이 82.3%로 압도적이었다.

그 이유로는 ‘저축할 여유가 없다(59.5%)’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20대와 30대는 각각 31.4%, 33.9%가 ‘내 집 마련’을 저축 부족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았다. 40대와 50대는 각각 56%, 52.9%가 ‘교육비, 결혼비용 등 자녀에 대한 지출이 커서’를 원인으로 꼽았다.

노후준비가 부족하다고 여긴 탓인지 은퇴 후 재취업에 관해서는 10명 중 9명(88%)이 ‘재취직할 것’이라고 답했다.

은퇴 준비를 위해 가장 시급한 지원대책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도 ‘노년층 일자리 확대(33.2%)’가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은퇴자를 위한 실버타운 등 인프라와 문화생활 구축’이 32.1%를 차지했으며, ‘국민연금 확충(16.9%)’, ‘은퇴자금 마련 재테크 교육(11.9%)’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만족스러운 은퇴생활 자금으로는 응답자의 34%가 ‘3~5억원이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25.3%는 ‘1~3억원’이라고 답했다.

이 같은 수치는 은퇴 자금으로 최소 10억원은 필요하다고 제시한 경제연구소나 금융회사 등의 연구자료와는 큰 차이를 보여준다. ‘10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16.8%에 불과했다.

예상 은퇴 나이를 묻는 질문에는 ‘56~60세(29.5%)’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61~65세’가 25.9%를 차지했다.

노후 생활에 대한 두려움로는 ‘질병 등 건강 악화에 대한 걱정’이 36.7%로 가장 많았으며, ‘소득수준의 하락(27.8%)’, ‘사회활동 축소로 인한 공허함(25.8%)’ 등이 뒤를 이었다.

직장인들이 꿈꾸는 이상적인 노후 생활은 바로 배우자와의 세계 여행이었다.

’은퇴 생활의 롤모델로 삼고 싶은 사람은 누구냐’는 질문에 38.8%가 배우자와 함께 세계를 여행한 이해욱 전 KT 대표를 꼽았다. 이 전 대표는 은퇴 후 여행가로 변신해 192개 나라를 여행했다.

이어 정년 없이 일하는 배우 이순재씨가 27.6%로 2위를 차지했다. 퇴임 후 고향으로 내려간 전직 대통령은 18.3%로 3위에 올랐다.

하나HSBC생명 하상기 사장은 “내 집 마련과 자녀 교육 등에 대한 과도한 지출은 줄이고 지금부터라도 은퇴생활에 대비한 경제적ㆍ문화적 설계와 실천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