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한국금융 해외서 길 찾다] “韓·中기업 거래비중 3년내 5대 5로”

[글로벌 한국금융 해외서 길 찾다] “韓·中기업 거래비중 3년내 5대 5로”

입력 2011-07-27 00:00
수정 2011-07-27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세진 중국유한공사 부행장

톈진에 있는 외환은행 중국유한공사 정세진(54) 부행장은 실질적으로 현지사회에 뿌리내리는 것이 중국에 진출한 우리나라 은행 모두의 과제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정세진 중국유한공사 부행장
정세진 중국유한공사 부행장
→외국에 나간 국내 은행들이 대개 현지 한국인들만 상대한다는 지적이 있다.


-지금까지는 그랬다. 하지만 앞으로는 그렇게 해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우선 우량고객이었던 한국계 기업들이 더 이상 한국계 은행만 상대하기 어렵게 돼 있다. 자금 운용의 안정성을 생각할 때 은행들 역시 한곳으로 돈을 몰아 줄 수 없는 실정이다. 3년 안에 중국기업과 한국기업의 거래비중을 5대5로 맞춘다는 계획이다.

→중국 영업환경을 한국과 비교하면.

-업무 프로세스에서 중국계 은행과 한국계 은행은 차이가 크다. 한국에서는 아침에 송금한 돈이 오후면 입금되지만, 중국은 영업일 기준으로 2~3일 정도가 걸린다. 해킹 위험이 큰 나라인 만큼 전산화도 100% 이뤄져 있지 않다. 서비스 정신에도 한국과 차이가 있다.



→영업활동에서 힘든 점은.

-연말까지 맞춰야 하는 75% 예대비율이다. 100만원 예금을 받아 대출은 75만원만 하라는 건데 은행 입장에서는 가혹한 규정이다. 미국의 씨티나 영국 HSBC 같은 초대형 은행들은 처음부터 개인금융을 공략했기 때문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하지만 외국계 은행은 기업금융이 주 수익기반이다. 기본적으로 기업은 예금보다는 대출 수요가 많아 자금조달에 애를 먹을 수밖에 없다.

→그럼 향후 대책이 있는가.

-다음 달이면 개인금융 면허가 나올 것으로 본다. 하지만 그렇더라도 개인금융 시장은 생각만큼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참고 기다리고 계속 투자해야 한다. 국제 전문가를 영입할 계획이다.

톈진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1-07-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