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일리지 車보험시대

마일리지 車보험시대

입력 2011-12-03 00:00
수정 2011-12-03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감원, 10개 손보사 상품 승인 주행거리 따라 5~13.2% 할인

주요 손해보험사들이 주행거리에 따라 보험료가 5~13.2% 할인되는 ‘마일리지 자동차보험’을 이달 일제히 출시한다.

마일리지 보험에 가입할 수 있는 주행거리 7000㎞ 이하 차량은 현재 356만대로, 개인 승용차 1353만대의 26.3%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차량이 모두 마일리지 보험에 가입하면 연평균 2000억원의 보험료 인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10개 손보사가 제출한 마일리지 보험 상품신고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AXA(이달 16일 출시)와 동부·삼성(이상 21일), 흥국·하이카(이상 22일), 한화·롯데·메리츠(이상 23일), 현대·더케이(이상 24일) 등이 각각 마일리지 보험을 출시할 예정이다. LIG와 에르고다음, 그린 등 3개 손보사도 보험개발원의 요율 검증을 거쳐 조만간 마일리지 보험 상품을 신고할 계획이다.

할인율은 보험사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있다. 동부화재 등은 연간 주행거리 3000㎞ 이하, 3000~5000㎞, 5000~7000㎞ 3단계로 구분해 보험료를 할인한다. 삼성화재는 4000㎞ 이하와 4000~7000㎞ 2단계로 나누고 있으며, AXA는 5000㎞ 이하 5000~7000㎞로 구분하고 있다. 평균 보험료 할인율은 8%이며, 주행거리에 따라 5.0~13.2% 할인받을 수 있다. 또 낮아진 보험료만큼 덜 내고 가입하는 선(先)할인과 만기 때 환급받는 후(後)할인으로 구분된다. 주행거리 확인은 운전자가 계기판을 사진으로 찍거나 차량운행정보 확인장치(OBD)를 설치하는 방식이 있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1-12-0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