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변동성 4년만에 최저

환율변동성 4년만에 최저

입력 2012-04-19 00:00
업데이트 2012-04-1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성 생겨 1분기 0.35%… 선물환 달러 조달은 최대

요즘 외환딜러들이 곧잘 하는 말 중의 하나가 “시장이 너무 잠잠하다.”는 것이다. 올 1분기 원·달러 환율 변동성이 4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높은 기름값을 대느라 기업들이 앞다퉈 달러 확보에 나서면서 미리 사들인 달러 규모(선물환 달러 조달액)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8일 내놓은 ‘1분기 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변동성(전일 대비 변동률 기준)은 0.35%로 전분기(0.64%)보다 크게 떨어졌다. 2007년 4분기(0.2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주요 20개국(G20) 15개 통화 가운데 네 번째로 낮은 수준이기도 하다.

전일 대비 변동폭은 평균 3.9원으로 전분기(7.4원)의 거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장중 변동폭도 5.0원으로 전분기(9.3원)에 비해 크게 안정됐다. 김정성 한은 외환시장팀 과장은 “유럽 재정 위기나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크게 부각되지 않은 데다 시장에 내성이 생기면서 변동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이 시기 G20 국가들의 통화 변동성도 줄어들었다.

한 가지 흥미로운 대목은 ‘기름값 앞에 장사 없었다.’는 점이다. 국내 기업들은 1분기에 선물환 거래(미리 정한 환율로 미래 시점에 사고팔기로 약속한 거래)를 통해 284억 달러를 사들였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고치다. 이렇게 해서 확보한 달러 가운데 다시 팔아치운 달러를 뺀 순매입(매수분에서 매도분을 뺀 것) 규모도 68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국내 기업들의 선물환 거래가 순매입으로 돌아선 것은 지난해 1분기 이후 1년 만이다.

김 과장은 “국제유가가 치솟으면서 에너지기업들을 중심으로 결제 수요가 늘었는데 무역수지 흑자는 축소되면서 (선물환 거래를 통한) 달러 매수가 급증했다.”고 전했다. 필요한 달러는 많은데 수출로 벌어들인 달러가 적다 보니 기업들이 달러 매수에 나섰다는 얘기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4-19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