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두달… 대미수출 11.3% 증가

한미 FTA 발효 두달… 대미수출 11.3% 증가

입력 2012-05-20 00:00
수정 2012-05-20 1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관세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한지 2개월 만에 대미 수출이 11.3%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3월 15일부터 이달 14일까지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은 934억 달러, 수입은 890억 달러로 각각 4%, 2.3% 줄었지만 대미 수출은 111억 8천만 달러로 두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수입은 77억 3천만 달러로 2% 증가에 그쳤다.

관세청은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와 EU의 재정위기 여파에도 FTA 영향으로 미국으로의 수출입은 안정적으로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대미 무역수지 흑자는 34억 5천만 달러로 전체 흑자(44억 달러)의 78.4%에 달했다.

대미 수출입은 FTA 혜택 품목군의 수출입 증가율이 전체 품목의 증가율을 웃돌면서 교역량 증대를 견인했다.

수출은 FTA 관세혜택을 본 자동차 부품(15%), 자동차(31%), 석유제품(42%), 고무제품(10%), 섬유류(7.4%) 등의 호조 덕에 19.4%나 증가해 FTA 비 혜택품목의 수출증가율(6.9%)을 압도했다.

관세혜택 품목의 수입도 오렌지(31%), 레몬(172%) 등 과실류와 사료(27%), 반도체(35%), 반도체제조용장비(49%) 등을 중심으로 3.4% 늘었다. 비 혜택 품목의 증가율은 0.7%였다.

수출기업이 FTA를 활용한 비율은 58.7%, 수입활용률은 48.2%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작년 한·EU, 한·페루 FTA의 발효 이후 우리 기업의 FTA 학습효과를 고려할 때 한-미 FTA 활용률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관세청은 기대했다.

관세청은 지금까지 한미 FTA의 조기 정착을 위해 전국 세관에 특별지원팀을 24시간 운영하며 발효 후 약 100만 건의 수출입통관을 지원하고 세관 직원과 민간 FTA컨설턴트를 동원해 중소 수출기업 8천여 곳을 대상으로 방문컨설팅 활동을 펼쳤다.

◇한미 FTA 발효후 2개월간 수출입변화(억불, 괄호는 전년 동기대비 증감)

┌───────────┬───────────┬───────────┐

│ 구 분 │ 수 출 │ 수 입 │

├───────────┼───────────┼───────────┤

│ 對 세계 │ 934.0 (△4.0%) │ 889.6 (△2.3%) │

├───────────┼───────────┼───────────┤

│ 對 美 │ 111.8 (11.3%↑) │ 77.3 (2.0%↑) │

├───────────┼───────────┼───────────┤

│ - FTA 혜택 품목 │ 42.5 (19.4%↑) │ 38.2 (3.4%↑) │

├───────────┼───────────┼───────────┤

│ - FTA 비혜택 품목 │ 69.3 (6.9%↑) │ 39.1 (0.7%↑) │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