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렉시트’ 운명의 날 D-2] “유로 약소국 한 곳만 이탈해도 유럽은행 자산가치 58% 날아가”

[‘그렉시트’ 운명의 날 D-2] “유로 약소국 한 곳만 이탈해도 유럽은행 자산가치 58% 날아가”

입력 2012-06-15 00:00
수정 2012-06-15 0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크레디트스위스銀 경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에서 약소국 하나만 떨어져 나가도 유럽 은행의 자산가치가 반토막 난다.”

스위스 투자은행인 크레디트스위스(CS)는 13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유로존 역내 약소국 가운데 어느 한 나라라도 이탈하게 되면 유럽 은행 자산의 58% 수준인 3700억 유로(약 542조원)가 날아가 버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CS는 보고서에서 재정 위기국인 그리스·아일랜드·이탈리아·포르투갈·스페인 가운데 어느 한 나라라도 유로존에서 제명되면 유럽 대형은행이 버티기 어렵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들 위기국이 잔류한다 해도 대외 충격에 취약한 구조상 역내 은행권에 1조 3000억 유로가량의 자금조달시장이 경색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전체 여신 규모의 약 10%에 해당된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도 유로존이 무너질 경우 2조 유로의 여신 감축을 예상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CS 보고서는 그리스의 유로화 포기(그렉시트)와 역내 다른 약소국들의 후속 이탈, 그리고 은행들이 ‘자국 먼저’를 본격화하는 세 가지 시나리오를 분석했다며 이들 세 개 시나리오가 동시에 발생하는 최악의 상황에서는 유럽 은행에 최대 4700억 유로가 투입돼야 한다고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어 영국 은행이 유로 은행보다는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하겠지만 결코 안전하다고는 볼 수 없으며 유로존 붕괴 시 바클레이스는 370억 유로, 스코틀랜드왕립은행(RBS)은 260억 유로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CS는 그리스만 이탈하면 유럽 은행의 손실이 시가총액의 5%가량에 그칠 것이라면서 이때 프랑스 은행과 투자은행이 가장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개별적으로는 프랑스 협동조합은행 크레디트아그리콜의 충격이 가장 클 것이라고 지적했다.

영국의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도 그렉시트에 따른 충격 정도를 분석하면서 “그리스의 유로존 이탈로 직접적인 충격은 크지 않겠지만 그리스가 자국 통화인 드라크마로 회귀하면서 미치게 될 간접적인 파장은 큰 문제”라고 경고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2-06-1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