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찾는 사고 중 11%는 음주 후 발생

응급실 찾는 사고 중 11%는 음주 후 발생

입력 2012-09-05 00:00
업데이트 2012-09-05 09: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넘어지거나 미끄러지는 사고는 술 영향 특히 커

외상이나 약물중독 등 사고로 다친 환자가 응급실로 실려간 사례 10건 중 1건은 본인이나 가해자 등이 술을 마신 이후 상황에서 빚어졌다는 표본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질병관리본부의 ‘응급실 손상환자 표본심층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0∼12월 표본 수집 병원 20곳의 응급실을 찾은 손상환자 사례 5만6천542건 중 8.4%(4천760건)는 술을 마신 상태였다.

여기에 가해자 등 사고 관련자가 술을 마셨던 경우까지 합하면 음주 후 사고 비율이 10.7%(6천77건)에 이르렀다.

술을 마셨던 사람들끼리 사고를 낸 경우, 즉 환자뿐 아니라 다른 사고 관련자도 음주 상태였던 경우는 전체 응급실 손상환자 사례의 1.9%(1천76건)였다.

넘어지거나 미끄러져 다친 낙상 사고는 음주의 영향이 특히 컸다. 낙상 1만2천281건 중 환자 본인 또는 관련자가 술을 마신 후 생긴 부상은 16.3%(2천1건)나 됐다.

응급실 손상환자들을 사고 유형별로 보면 ‘추락 또는 낙상’이 전체의 28.0%(1만5천807건)로 가장 많았고, 단단한 물체에 부딪히거나 맞아서 생기는 ‘둔상’이 26.4%(1만4천917건), 운수사고가 18.8%(1만642건)를 차지했다.

응급실 치료 후 입원한 사례(6천775건) 중 69.7%(4천722건)는 낙상·추락과 운수사고 환자였다.

또 회복되지 못하고 결국 사망한 환자 342명 가운데 144명은 운수사고 환자였고 낙상과 질식(목을 매 자살한 경우 포함)도 각각 64건과 63건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고 장소는 ‘집’과 ‘도로’가 각각 38.5%(2만1천788건), 27.3%(1만5천414건)로 일상 공간과 이동 중 갑작스럽게 생긴 사고가 많았다.

약물이나 농약에 의한 중독 환자(1천253건) 중 절반 이상(53.2%)은 자해나 자살이었고, 원인 약물 종류는 의약품(610건), 가스(219건), 농약(208건) 등이 많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