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로’ 韓경제 L자형 저성장 돌입

‘우려가 현실로’ 韓경제 L자형 저성장 돌입

입력 2012-10-26 00:00
수정 2012-10-26 09: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 회복탄력성 저하…‘성장엔진’ 꺼지나

대한민국 경제에 적색등이 켜졌다. 바닥에 구멍이 난 선박처럼 서서히 가라앉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성장하는 데 그쳤다

전년 동기 대비 분기별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간 것은 역대 위기상황 시기를 제외하면 한 번도 없었다.

석유파동ㆍ외환위기ㆍ카드사태ㆍ금융위기 당시에만 지금보다 저조한 성적을 거뒀다. 지금이 위기 상황에 버금간다는 의미로 읽힌다.

더 큰 문제는 ‘회복탄력성’의 실종이다. 그간 경제위기를 겪으며 마이너스(-)성장을 기록했어도 다음 분기에는 벌떡 일어섰다.

그러나 이젠 그런 활력이 없어 보인다 .

우리 경제가 ‘L자형’ 저성장에 돌입했다는 판단의 근거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을 보면 3분기 우리 경제는 지난해 같은 분기와 비교해 1.6% 성장하는데 그쳤다. 2009년 3분기 1.0% 성장 이후 가장 낮은 것이다.

분기 성장률이 2% 아래로 내려간 것은 통계 작성 이후 단 네 차례뿐이다. 1980년 1~4분기(석유파동), 1998년 1~4분기(외환위기), 2003년 2분기(카드사태), 2008년4분기~2009년 3분기(금융위기)가 그랬다.

이번 3분기 1.6% 성장 역시 위기상황에 버금가는 수치다.

양상은 과거와 다르다. 강한 외부 충격에 의한 것이 아니다. 2010년 4분기 4.9% 성장 이후 매 분기 시나브로 줄어 위기 수준인 1.6%까지 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아직도 성장에 하방 위험이 더 크다”며 “’L자형’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때문에 위기가 일상화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위기와 저성장이 우리 경제의 ‘상수’가 됐다는 것이다.

한은 김중수 총재 역시 최근 시중은행장들과의 회의에서 “(위기에 따른)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것이 일상화한 관행이 됐다”며 “이는 새 패러다임”이라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한국의 성장엔진이 꺼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온다. 우리 경제의 ‘회복탄력성’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미국발 금융위기 때 성장 추이를 보면 2009년 2분기 -2.1%, 3분기 1.0%에서 4분기에 바로 6.3%로 점프했다. 외환위기 당시에도 1998년 3분기 -7.1%, 4분기 -4.7%에서 1999년 1분기 6.4%로 뛰어올랐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처럼 위기를 탄력적으로 극복할 힘이 떨어진 상태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 성장률이 위기 수준으로 점차 떨어졌다는 설명이 힘을 얻는 이유다.

이 위원은 “한국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아예 꺾이는 것이 아닌지 고민할 상황”이라며 “경제당국은 물론 정치권도 근본적인 고민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