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셀 코리아’ 가능성… 외환시장 변동성 줄여야

[글로벌 금융시장 요동] ‘셀 코리아’ 가능성… 외환시장 변동성 줄여야

입력 2013-06-14 00:00
업데이트 2013-06-1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 시장 전문가 진단

전문가들은 향후 우리나라를 포함한 글로벌 금융시장을 전망하는 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13일 전 세계 주식시장 폭락으로 드러난 금융시장 불안의 주요 원인은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 가능성인데, 결국 미국이 열쇠를 쥐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시장의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거시 건전성 3종세트’(선물환 포지션 제도, 외국인 채권투자 세금, 외환건전성 부담금) 강화 등 외국 자본의 과도한 유출입을 막기 위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보는 향후 양적완화 출구전략 시나리오는 3개 정도다. 먼저 미국이 채권 매입은 계속하지만 그 규모를 줄이는 것이다. 두 번째는 채권을 시장에 되파는 등 양적완화를 양적축소로 되돌리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등 긴축으로 방향을 확정하는 것이다.

이 중 대다수는 첫 번째, 곧 양적완화의 축소를 미국 등 선진국들이 선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양적완화 정책의 전환을 견딜 정도로 미국 등의 실물 경제가 회복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종우 아이엠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선진국 시장의 경우 주식과 채권 등 두 분야에서 거품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양적완화 정책의 변화를 꾀하겠지만 연말까지는 채권 매입을 계속할 것”이라면서 “그때까지 주가 하락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혼란은 어쩔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정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아시아금융학회장)도 “미국이 올해 말부터 기존 양적완화 정책의 방향 전환을 시도하면 향후 1년 정도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이 지속될 것이고, 이를 어떻게 견딜 것인가가 우리 경제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줄이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양적완화의 방향 전환은 한국 주식과 채권 등을 사들였던 외국인 자금이 일제히 ‘셀 코리아’로 돌아설 여지가 높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양적완화 종료 등에 따라 환율이 급변하면 기업 등의 충격이 엄청난 만큼 외환시장의 불안 요인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면서 “외화건전성 강화 등 조치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라고 조언했다.

오 교수는 “향후 원화보다도 엔화의 약세 속도가 더 빨라지면서 원·엔 환율이 하락하면 경상수지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지난 30년간 고성장을 구가했던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도 상존하는 만큼 정부는 재정 건전성 강화와 환율 방어 등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6-14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