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주거·의료 빈곤 노인 우울감 느낀다”

“소득·주거·의료 빈곤 노인 우울감 느낀다”

입력 2015-10-26 07:52
업데이트 2015-10-26 07: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사연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 분석결과

소득이 낮거나 주거·의료비 등을 많이 지출하는 노인이 우울감을 함께 느끼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6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간한 ‘보건사회연구’ 최근호(9월호)의 ‘노인의 빈곤과 우울에 관한 연구’(김태완·이주미·정진욱) 보고서를 보면 65세 이상 노인의 빈곤과 우울 문제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보고서는 2005~2013년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해 노인의 소득, 주거비·최저주거, 건강보험 체납·의료비 등을 기준으로 소득·주거·의료빈곤층을 각각 구분하고 우울 여부를 판단했다.

분석결과, 2013년 기준 중위(가처분)소득의 50% 미만에 해당하는 소득빈곤을 경험한 노인은 49.5%로 전체 노인의 절반에 달했다. 의료빈곤 7.8%, 주거빈곤 4.2%가 뒤를 이었다.

빈곤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정도를 살펴보면 주거빈곤 노인의 47.5%가 빈곤과 우울감을 동시에 경험했다. 특히 집을 빌려 쓰는 임차가구 노인의 우울 경험은 55.6%로 집을 소유한 경우(28.7%)보다 높은 편이었다.

의료빈곤 노인과 소득빈곤 노인의 우울 경험 역시 각각 44.8%, 34.6%로 높은 편이었다.

보고서는 여성, 배우자가 없이 혼자 사는 노인, 학력수준이 낮고 도시보다 농어촌에 거주하는 노인 세대가 빈곤과 우울감에 많이 노출된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빈곤을 경험하는 노인의 절반 혹은 3분의 1 정도가 정신적 문제를 함께 경험하고 있다”며 “지역사회와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극복 방안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