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대 집단폐렴 확산 없어…발병원인 아직 못찾아

건대 집단폐렴 확산 없어…발병원인 아직 못찾아

입력 2015-11-04 15:08
업데이트 2015-11-04 16: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심환자 52명…1명 빼곤 모두 열 내려

건국대 서울 캠퍼스에서 발생한 원인 미상의 집단폐렴 환자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았다.

4일 폐쇄된 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 건물 주변을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건국대는 지난달 28일 건물 폐쇄와 함께 중단된 동물생명과학대 학부 수업을 5일 다른 단과대학 건물을 이용해 다시 한다고 결정했다.  연합뉴스
4일 폐쇄된 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 건물 주변을 학생들이 걸어가고 있다. 건국대는 지난달 28일 건물 폐쇄와 함께 중단된 동물생명과학대 학부 수업을 5일 다른 단과대학 건물을 이용해 다시 한다고 결정했다.
연합뉴스
질병관리본부는 하루 사이 건국대 집단폐렴 관련 추가 신고자가 없었으며 의심환자도 늘지 않아 4일 오전 0시를 기준으로 한 의심환자수는 전날과 마찬가지로 52명이라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건국대의 동물생명과학대학 건물을 이용하고 발열(기준 37.5℃)과 흉부방사선상 폐렴 소견이 확인된 환자를 ‘의심환자’로 규정하고 있다.

의심환자 52명은 7개 의료기관에 분산돼 격리치료를 받고 있다. 환자 중 1명을 제외한 51명은 초기에 발생한 발열 증상이 사라졌으며 48명은 증상이 상당부분 호전돼 경미한 상태다.

발열이 사라진 환자는 전날보다 5명, 증상이 경미한 환자는 전날보다 24명 늘어났다.

질본은 “임상 증상과 흉부방사선 촬영 결과를 살펴볼 때 환자 중 상태가 중증인 사례는 없으며 전날에 비해 증상이 악화된 경우도 없다”며 “역학조사와 환경조사를 진행 중이지만 현재까지 집단 발병의 원인은 찾아내지 못햇다”고 말했다.

한편 집단 발병과 관련해 정부는 전날 국무조정실장 주재 점검회의를 개최해 신속한 원인 규명에 집중하는 한편 관련 부처들이 역학조사와 후속조치에 필요한 사항에 대해 협력하기로 했다.

방역당국은 5일에는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간역학조사 자문단회의를 개최해 역학조사 상황을 공유하고 원인 파악을 위한 의견을 들을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