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지각변동’ 하이닉스 톱5 진입…삼성 인텔 맹추격

‘반도체 지각변동’ 하이닉스 톱5 진입…삼성 인텔 맹추격

입력 2015-11-12 07:25
업데이트 2015-11-12 0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율 효과로 삼성 인텔에 11% 차로 따라붙어

IT전자업계 중 가장 극심한 지각변동이 예고되는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올해 톱 20 순위가 윤곽을 드러냈다.

SK하이닉스가 6위에서 4위로 점프하면서 톱 5에 처음 진입하고 삼성은 부동의 1위 인텔(미국)을 가시권에 두고 맹추격한다는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1,2위를 지키는 D램 등 메모리 시장 외에 인텔의 주력인 마이크로프로세서칩과 한국이 상대적으로 약한 시스템반도체 등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순위 변동이다.

12일 반도체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의 맥클린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문은 올해 416억달러의 매출을 올려 인텔(503억달러)을 87억달러 차이로 추격할 것으로 예측됐다.

2014년 양사의 매출 격차는 인텔 514억달러, 삼성 378억달러로 130억달러 이상이었다.

맥클린 보고서는 “지난해 인텔이 삼성을 36% 차이로 앞섰으나 올해는 그 격차가 15% 포인트 가량 줄어 양사 격차가 21%로 좁혀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기다 환율 효과를 고려하면 인텔과 삼성의 격차는 11%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 달러화는 지난해와 비교해 원화 대비 약 7%의 강세를 보였다.

이런 환율효과를 삼성의 반도체 매출에 반영하면 올해 매출이 447억달러까지 올라간다. 그럴 경우 인텔과의 격차가 10% 언저리까지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는 삼성 매출이 18% 성장하는 데 비해 인텔은 2% 역성장하기 때문이다.

삼성은 반도체 같은 부품을 공급할 때 달러 베이스로 결제받기 때문에 올해와 같은 환율 추이가 유리하다. 삼성전자는 3분기 실적발표 때도 전체 사업부문에서 약 1조원 가까운 환율효과를 봤다고 밝힌 바 있다.

반도체 업계 순위에서 또 눈에 띄는 대목은 SK하이닉스의 약진이다.

SK하이닉스는 2014년 6위에서 올해는 4위로 점프할 것으로 점쳐졌다.

4위 퀄컴(미국)을 5위로, 5위 마이크론(미국)을 6위로 각각 밀어내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SK하이닉스는 모바일 D램 점유율 향상과 나노 미세공정 효율화로 환율 효과를 고려한 올해 매출 성장률이 12%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삼성과 14나노 핀펫 사업에서 제휴한 글로벌파운드리(미국)가 20위에서 17위로 순위를 끌어올릴 전망이다.

미국 반도체회사 브로드컴을 인수한 싱가포르 소재 반도체 기업 아바고는 순위가 15위에서 10위로 수직상승할 것이라고 맥클린 보고서는 예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