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인상 전에…” 은행권 대출금리 ‘들썩’

“미국 금리인상 전에…” 은행권 대출금리 ‘들썩’

입력 2015-11-15 11:14
업데이트 2015-11-15 1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택담보대출 금리 두 달 만에 최고 0.6%p 올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영향으로 연 2% 중반까지 떨어졌던 시중은행의 담보 대출금리가 오름세로 돌아섰다.

최근 두 달여 만에 많게는 0.6%포인트가량 상승했다.

15일 전국은행연합회와 각 은행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10년 분할상환식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는 지난 7월 연 2.77%에서 9월 2.85%로 0.08%포인트 상승했다.

KEB하나은행(옛 하나은행)의 평균금리는 같은 기간 3.00%에서 3.01%로 올랐다.

은행들은 미국 금리 인상설이 유력하게 떠오른 9월부터 대출 금리를 올리는 추세다.

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9월 말 연 2.65~4.52%에서 이달 12일 연 2.94~4.77%로 0.25~0.3%포인트 올랐다.

고정금리를 대출을 유지하다가 3년이나 5년 후 변동금리로 갈아타는 고정혼합형 금리는 연 2.65~4.52%에서 연 3.15~4.90%로 두 달 새 0.5%포인트까지 뛰었다.

신한은행은 주택담보대출 10년 고정금리(신한금리안전모기지론) 상품 금리를 연 4.0~4.5%에서 연 4.1~4.5%로 조정했다.

변동금리 상품도 2.65~3.75%에서 2.84~3.94%로 0.2%포인트가량 올렸다.

KEB하나은행의 5년 고정 혼합형 상품 금리는 9월 말 2.82~4.52%에서 이달 13일 3.02~4.72%로 바뀌었다.

KB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2.63~3.94%에서 2.84~4.15%로 올랐다.

혼합형 금리도 같은 기간에 2.64~3.95%에서 3.23~4.53%로 0.6% 포인트 가까이 상승했다.

NH농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2.79~4.44%에서 3.08~4.53%로 올랐다.

국내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대부분 코픽스와 연동된다.

코픽스는 국내 9개 은행의 정기 예·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의 수신금리를 잔액비중에 따라 가중평균해 산출한다.

잔액보다 시장금리 변동이 신속하게 반영되는 신규 코픽스의 경우 올 1월 2.15%에서 지난달 1.54%로 0.61%포인트 떨어졌다. 매달 0.07%포인트가량 떨어진 셈이다.

그러나 지난 9월부터 하락폭이 급격히 둔화하는 모습이다.

9월 신규코픽스는 1.55%로 전월보다 0.01%포인트 떨어지는 데 그쳤다.

10월에는 1.54%로 전월보다 0.01%포인트 하락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최근 시장 조달금리가 다소 오르고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다 보니 속도조절 차원에서 금리를 조정할 필요가 있었다”며 “미국의 임박한 금리인상도 선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