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웅섭 금감원장 “성과주의 확산, 은행장들도 필요성 공감”

진웅섭 금감원장 “성과주의 확산, 은행장들도 필요성 공감”

입력 2015-11-15 13:51
업데이트 2015-11-15 13: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모범규준 이미 마련…노조 반발 등이 어려운 점””대기업 구조조정 의지 갖고 추진할 것”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15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금융권 성과주의 문화 확산에 대해 은행들도 동조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와 함께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진 원장은 출입기자단과 가진 간담회에서 “시중은행장들도 성과주의 확산에 대한 필요성은 모두 공감하고 있다”며 “다만 (금융사별) 특성이나 노조의 반발 등 어려운 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성과주의 도입과 관련해 금융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에 관련 내용이 이미 마련돼 있다”며 “금융위와 함께 금융개혁회의를 통해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종룡 금융위원장도 성과주의 확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며 “금감원도 은행장과의 간담회에서 관련한 논의를 했다”고 덧붙였다.

최근 이슈화한 기업 구조조정과 관련해서는 대기업을 대상으로 내달까지 진행하는 신용위험평가를 강화된 기준으로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진 원장은 “대기업 구조조정은 관심도 많고 파장이 커 조심스러운 측면이 있다”면서도 “내년 총선과는 상관없이 의지를 갖고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금융소비자보호도 강조했다.

진 원장은 “정보의 비대칭성이라는 측면에서 그동안 소비자가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와 관련해 감독 당국이 역할을 철저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문제소비자’나 ‘악성민원인’에 대한 감독도 병행하고 있다”며 “금융사에 대한 민원평가를 소비자보호 평가로 전환한 것은 이를 종합적으로 아우르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다.

금감원 조직개편과 관련해서는 “금융개혁 쇄신방향에 맞춰 연말까지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조직개편 문제는 금융위와의 협의를 거쳐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