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와 결혼한 여자’ 삼성 R&D 첫 女부사장

‘배터리와 결혼한 여자’ 삼성 R&D 첫 女부사장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5-12-04 23:10
업데이트 2015-12-05 00: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재용식 신상필벌’ 삼성 인사 면면

4일 발표된 삼성그룹 임원 승진자는 예년에 비해 크게 줄었지만 삼성의 인사 원칙인 성과주의는 잘 반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의 2016년 임원 승진자는 모두 294명, 새롭게 임원 반열에 오른 상무 승진자는 197명으로 모두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이다. 그러나 이런 가운데서도 발탁 승진자가 44명 나왔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때부터 적용하던 ‘신상필벌’ 인사 원칙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주도한 인사에도 적용된 것이다.

특히 삼성 연구·개발(R&D) 분야에서 처음 여성 부사장이 탄생했다. 주인공인 김유미(57) 삼성SDI 소형전지사업부 개발실장은 미혼으로 사내에서 ‘배터리와 결혼한 여자’로 통한다. 소형부터 중대형 사이즈의 전지를 포괄하는 SDI 최고의 전지 개발 전문가로 해외 주요 완성차 업체들을 상대로 전기차전지 수주 확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는 설명이다. 후배들에게 가장 많이 강조하는 단어는 ‘주도권’이다. 스스로 옳고 그른 것을 판단하고 남이 시키기 전에 하는 주인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해외 법인에서 성과를 낸 인력의 본사 임원 승진도 잇따랐다. 규모는 4명으로 2014년(12명), 2015년(9명)보다 줄었지만 반도체 등 삼성전자 부품(DS) 부문에서 현지 VP(바이스 프레지던트)급 3명이 본사 임원으로 승진했다. 지난해에는 한 명도 없었다.

모토롤라·노키아 출신인 삼성전자 미국법인 상품전략담당 저스틴 데니슨(41) VP는 북미시장 전략 제품 론칭을 주도해 상무로 승진했다. 반도체 전문가인 삼성전자 미국 반도체생산법인 기술담당 마이클 레이포드(53) VP도 14나노 제품 양산에 기여해 상무로 올라갔다. 삼성은 “국적에 관계없이 핵심 인재를 중용함으로써 글로벌화와 조직 내 다양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또 세계 최초로 14나노 핀펫 공정 개발을 주도한 반도체 공정 전문가인 삼성전자 심상필(50) 상무는 전무로 2년 빨리 발탁됐다. 승진을 위한 직급별 기준 체류 연한은 상무에서 전무로 올라가는 데 6년,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하는 데 3년이다. 생산자동화 전문가로 휴대전화 글라스·메탈 케이스 공정 개선을 이끈 삼성전자 김학래(53) 상무도 전무로 발탁됐다. 한편 삼성그룹의 컨트롤 타워인 미래전략실은 전략1, 2팀을 통합하는 식으로 조직을 축소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5-12-05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