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시범사업 47개 기종 띄운다…전용 비행공역 지정

드론 시범사업 47개 기종 띄운다…전용 비행공역 지정

입력 2015-12-20 11:06
업데이트 2015-12-20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 미만부터 150㎏까지 다양한 기종으로 테스트

국내 첫 드론(무인비행장치) 시범사업의 윤곽이 나왔다.

대한항공과 CJ대한통운, 현대로지스틱스 등 15개 대표사업자가 준비한 드론 47개 기종이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전용 비행공역을 날아다니게 된다.

국토부는 강원 영월 하송리·대구 달성 구지면·부산 해운대 중동·전남 고흥 고소리·전북 전주 완산구 등 5개 지역(548㎢)에 고도 300∼450m까지를 드론 시범사업 전용공역으로 29일 지정한다고 20일 밝혔다.

앞서 4개 공역을 선정한 데 이어 민·군 합동 기술검토를 거쳐 전주 완산구를 공역으로 추가 결정했다.

이들 5개 공역에서는 드론 시험비행이 수시로 이뤄지는 만큼 다른 항공기의 운항이 금지된다. 이를 어기면 500만원 이하 벌금 또는 과태료가 부과된다.

시범사업 참여기종은 5㎏ 미만이 24개종으로 가장 많고, 5∼10㎏과 10∼25㎏ 각각 8개종, 25∼100㎏ 5개종, 100∼150㎏ 2개종 등이다.

형식은 고정익·헬기형·멀티콥터형, 성능은 고도 400∼500m부터 3천m까지, 재급유 없이 비행할 수 있는 체공시간도 20분부터 3시간까지 다양하다.

15개 사업자는 내년 초부터 드론을 이용해 공역에서 ▲물품배송 ▲재난구호 ▲관측·보안·측량 등 모니터링 ▲고층시설물 안전진단 ▲스마트농업 ▲통신망 활용 ▲게임·레저스포츠 영역 사업 가능성 검증에 나선다.

드론에 소형택배 상자를 부착하고 5㎞ 이내까지 운반실험을 하는 물품배송 분야는 CJ대한통운·현대로지스틱스·대한항공·부산대·경북대가 맡는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드론에 카메라를 달아 산불·병해충 감시, 한국국토정보공사는 지적측량과 토지 실태조사, 부산대는 해안선 관리, KT는 LTE 통신망을 활용한 드론 제어기술 검증 등을 진행한다.

국토부는 23일 공역으로 지정된 5개 지역 지자체와 15개 시범 사업자를 한 자리에 모아 서로 짝을 지어준다. 공역의 특성에 맞는 사업자를 연결해주는 것이다.

전남 고흥 고소리는 공역 면적이 380㎢로 다른 곳에 비해 면적이 월등히 넓고, 평지와 해안지역을 포함한다.

영월 하송리(95㎢)와 달성 구지면(43㎢)은 하천과 산림지역이고, 해운대 중동(20㎢)은 해안지역, 전주 완산구(10㎢)는 평지다.

이들 공역 부지에 주택 밀집지역은 없지만, 일부 농가와 시설물이 있다.

공역이 지정되는 29일부터 당장 드론을 띄울 수 있지만, 겨울철에는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시범사업 준비를 거쳐 내년 초부터 본격적인 시험비행이 시작될 전망이다.

시범사업 기간은 2017년 12월까지로 예정돼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