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중 7명 “집 사기 안좋은 시기”

10명중 7명 “집 사기 안좋은 시기”

입력 2017-01-06 12:31
수정 2017-01-06 1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년내 집값, “내린다” 40% vs “오른다” 20%

전국 성인 10명 중 7명은 지금이 집을 사들이기 좋지 않은 시기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4∼5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천4명을 대상으로 1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부동산 시장 전망에 대해 벌인 설문조사(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결과, 응답자의 76%가 지금은 집을 구입하기 좋은 시기가 아니라고 답했다.

좋은 시기라는 응답은 10%였고 14%는 의견을 유보해 전 세대에 걸쳐 지금이 집을 사들이기에 좋지 않은 시기라는 시각이 우세했다.

향후 1년간 집값이 어떻게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43%가 내릴 것이라고 답했고 20%가 오를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32%는 집값에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했고 5%는 의견을 유보해 집값이 내리거나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집값 하락 전망이 늘어난 것과 달리 주택 임대료는 앞으로도 오를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

향후 1년간 전·월세 등 주택 임대료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1%가 오를 것으로 전망했고 19%는 내릴 것, 33%는 변화 없을 것으로 봤다.

특히 주택 임대료가 오를 것이라는 응답은 20대에서 70%로 가장 많았고 30·40대에서는 40%선, 50대 이상에서는 30%를 밑돌아 중장년층보다는 젊은층이 주거비에 대한 부담감을 더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 소유의 집이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있어야 한다’는 답변이 63%, ‘꼭 그럴 필요 없다’는 답변이 36%였고 1%는 의견을 유보했다.

2014년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내 집이 있어야 한다’는 응답이 20·30대에서만 약 2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 몇 년간 전세난, 임대료 급등 등의 상황을 겪으며 내 집 마련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정부 주도 부동산 매매 활성화에 대해서는 ‘그럴 필요 없다’는 의견이 50%로 ‘더 활성화해야 한다’(38%)는 의견을 앞섰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