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치사율 100건당 6.35명
국도에서 차량이 반대 차로로 잘못 진입하면 경고음이 울리는 시설이 들어선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2/13/SSI_2017021317432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2/13/SSI_20170213174324.jpg)
자동감지·경보 장치는 바닥에 설치된 센서가 역주행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해 표지판에 ‘진입금지’라는 LED 표시를 띄우면서 경고음을 울려 차량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장치다. 최근 5년간 역주행 사고의 치사율은 100건당 6.35명으로 전체 교통사고 치사율(100건당 2.25명)의 약 2.8배에 이른다.
역주행 사고 발생 건수는 특별·광역시도(797건·50%)가 가장 많고 이어 시도(457건·23.5%), 일반국도(339건·17.4%) 순이지만 치사율은 일반국도가 15.3%로 특별·광역시도(3.4%)를 훨씬 앞선다. 일반국도의 치사율이 높은 것은 운행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일반국도의 역주행 방지를 위해 2015년 11곳 안전표지·노면표시를 정비하고 자동감지·경보장치를 시범 설치한 결과 지난해 3~12월 해당 구간에서 역주행 사고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7-02-1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