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in 비즈] “공유경제 사업 찾아라” 최태원·정의선의 특명

[비즈 in 비즈] “공유경제 사업 찾아라” 최태원·정의선의 특명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7-02-23 22:12
수정 2017-02-23 23: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 운송 솔루션 아이디어 발굴… 현대차, 카셰어링 넘은 혁신 고민

요즘 대기업 총수 사이에서 공유경제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우버, 에어비앤비 등 스타트업이 연 공유경제 시장이 비약적으로 커지자 총수들도 ‘돈 벌 수 있는 기회’로 바라보기 시작한 겁니다. 최태원(왼쪽)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다보스포럼에 다녀온 뒤로 공유경제에 꽂혔다고 하는데요. 지난 14일 그룹 사내방송에서 이런 얘기를 했다고 합니다. “자동차를 내구재가 아니라 우리가 사서 관리하면서 그냥 움직일 수 있고, 그냥 필요한 대로 쓸 수 있도록 그런 (운송) 솔루션을 만들어 보자.” 최 회장은 이날 공유경제를 하나의 미래 사업 모델로 제안하면서 “소비자 편익을 증가시킬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생각해 볼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룹의 사업 모델은 나와 여러분, 특히 여러분이 먼저 제안을 해 주셔야 한다”며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내도록 주문한 게 눈에 띕니다. 공유경제 시대에 맞게 임직원이 아이디어를 공유해 SK의 미래를 열어 보자는 취지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입니다.

정의선(오른쪽) 현대차 부회장도 미래 모빌리티(이동수단)를 고민하면서 공유경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정 부회장은 지난해 3월 제네바 모터쇼 때 ‘프로젝트 아이오닉’을 소개하면서 “단순히 자동차의 혁신을 뛰어넘어 새로운 시대의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이후 공유경제와 관련한 사업 모델은 점차 구체화되고 있는데요. 우선 4월부터 전기차를 중심으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지난 21일 공유경제 등의 사업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전략기술연구소도 만들었습니다. 단순한 카셰어링을 넘어 그 이상의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합니다. 해외에 비해 공유경제 시장이 좀처럼 열리지 않는 가운데 대기업이 뭔가 해 보겠다는 건 반가운 소식입니다. 다만 스타트업이 진출한 시장에 대기업이 뒤늦게 뛰어들어 시장을 잠식할까봐 우려하는 시선도 있습니다. 이왕 하는 거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가진 서비스를 내놓아 ‘판’을 흔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소수의 특권층이 아닌 이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삶을 더 가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는 정 부회장의 신념이 변함없기를 바랍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02-2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