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롯데 미래 원동력은 임직원”

신동빈 “롯데 미래 원동력은 임직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7-03-23 23:02
업데이트 2017-03-24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외 계열사 인사관리포럼…조직원 창의성 발현 방안 논의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인재 육성의 필요성을 다시 강조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연합뉴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연합뉴스
롯데는 23일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콘서트홀에서 ‘2017 롯데 HR포럼’을 열었다. 이 포럼은 2008년부터 롯데의 국내외 모든 계열사 인사·노무·교육 담당자들이 모여 한 해의 주요 인사 관련 이슈를 논의하는 자리다. 신 회장은 회장이 된 2011년부터 매년 참석하고 있다.

신 회장은 이날 “변하는 산업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첨단 기술 개발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사람 가치를 중시한 인재 육성이 더욱 중요하다”며 “새로운 롯데그룹의 미래를 이끌어 갈 원동력은 우리 임직원들에게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구성원에 대한 신뢰, 존엄성, 주체성, 자율성을 존중하고 조직원들이 조직 내 몰입과 창의성 발현의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롯데 임직원 700여명뿐만 아니라 외부 인사 100명도 참석했다.

고객중심, 창의, 협력, 책임감, 열정 등 그룹의 다섯 가지 핵심 가치 실천 우수사례에 대한 시상도 진행됐다. 대상은 롯데케미칼의 ‘우즈베크 수르길 프로젝트’가 받았다.

이 프로젝트는 아랄해 인근 수르길 가스전을 시추 개발해 115㎞ 떨어진 지역에 100만㎡ 규모의 화학제품 생산기지를 건설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롯데케미칼은 2006년부터 2016년 상업 생산을 시작하기까지 10여년에 걸쳐 4조원을 투자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7-03-24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