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동영상 최강자는 여전히 유튜브…점유율 43%”

“모바일 동영상 최강자는 여전히 유튜브…점유율 43%”

입력 2017-05-22 10:28
업데이트 2017-05-22 1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DMC “네이버TV·페이스북 등 추적…유튜브 사용자 충성도 최고”

국내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에서 구글 유튜브가 40%대 점유율로 여전히 1위를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TV·페이스북·SK텔레콤 ‘옥수수’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시장 조사 업체 DMC 미디어는 지난달 국내 이용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모바일 동영상을 볼 때 주로 쓰는 서비스로 유튜브를 꼽은 응답자가 전체의 42.8%에 달해 가장 높았다고 22일 밝혔다.

유튜브의 점유율은 DMC의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38.0%로 1위였으며, 이번에 4.8%포인트 증가했다.

올해 두 번째로 인기가 높았던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는 네이버 TV로 점유율이 15.4%였다. 페이스북(9.1%), 옥수수(8.0%), 카카오TV(4.6%), 티빙(3.7%), 다음(3.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유튜브로 모바일 동영상을 계속 보겠다는 ‘충성 고객’ 답변은 78.1%에 달해 모든 서비스 중에서 수치가 가장 높았다. 그만큼 서비스 만족도가 높다는 얘기다.

네이버TV는 계속 쓰겠다는 반응이 68.6%로 충성 고객 답변율 2위를 차지했다.

특정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를 택하는 이유로는 ‘무료 콘텐츠가 많아서’가 39.1%로 가장 많았다.

그 외 주요 이유는 ‘콘텐츠 종류가 다양해서’(28.5%), ‘좋아하는 프로그램이나 장르가 있어서’(23.9%) ‘콘텐츠 검색이 편해서’(23.0%) 등 순이었다.

모바일 동영상으로 가장 많이 보는 장르는 예능(46.6%)이었다. 영화(27.9%), 드라마(26.4%), 시사·보도·교양·다큐(25.0%)도 인기가 높았다.

올해 PC 동영상 영역에서도 유튜브는 점유율 45.5%로 압도적 선두였다.

2위는 네이버 TV 캐스트(18.8%)였고, 그 외 주요 PC 동영상 서비스로는 곰TV(5.9%), 페이스북(4.9%), 푹(4.3%) 등이 있었다. 곰TV는 PC에 깔아 쓰는 비디오 재생 소프트웨어(SW) ‘곰플레이어’에 연계된 서비스다.

모바일·PC 사용자들은 모두 다운로드보다는 스트리밍으로 동영상을 훨씬 많이 봤다. 스트리밍으로 콘텐츠를 즐긴다는 답변은 모바일 81.0%, PC 65.9%에 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