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구직난, 대졸사원 채용 100명 지원 시 2.8명 합격…300명 미만 기업은 반대

심화되는 구직난, 대졸사원 채용 100명 지원 시 2.8명 합격…300명 미만 기업은 반대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7-06-18 16:59
업데이트 2017-06-18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채용에서 지원자 100명중 2.8명만 합격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경쟁률이 높아지면서 2년전인 2015년 3.1명에서 더 줄었다. 대기업으로의 쏠림 현상이 심화돼 300인 미만 기업의 취업경쟁률은 되레 낮아졌다.
서울의 한 대학 게시판에 붙은 구인 공고를 여학생이 유심히 보고 있다.  자료사진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서울의 한 대학 게시판에 붙은 구인 공고를 여학생이 유심히 보고 있다. 자료사진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한국경영자총협회가 18일 전국 312개 기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7년 신입사원 채용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취업 경쟁률은 평균 35.7 대 1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조사를 했던 2015년 32.3 대 1보다 10.5% 높아진 것이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의 취업 경쟁률이 38.5 대 1, 300인 미만 기업은 5.8 대 1이다. 100명이 지원할 경우 최종 합격인원은 300인 이상 기업은 2.6명, 300인 미만 기업은 17.2명이다. 2015년과 비교하면 300인 이상 기업의 취업 경쟁률은 7.8% 오른 반면 300인 미만 기업은 12.1% 하락했다. 이는 전국 312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다.

 경총이 앞서 전국 100인 이상 258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대졸 신규채용 규모는 2016년 -5.8%, 2017년 -7.3% 등 3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 특히 100인 이상 300명 이하 규모에서의 감소폭이 2015년 -10.9%, 2016년 -14.8%로 컸다. 감소폭이 컸음에도 지원하는 대졸자는 더 줄어들어 300인 미만 기업의 취업 경쟁률은 내려간 것이다.

 채용 과정은 기업규모별로 다소 달랐다. 300인 이상 기업은 면접을 모두 했고 2회 이상 면접한 비중도 78.9%에 달했다. 300인 미만 기업도 97.5%가 면접을 했지만 2회 이상 한 경우는 46.9%에 그쳤다. 필기 전형은 300인 이상 기업은 52.6%가, 300인 미만 기업은 11.9%가 시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기업으로 따지면 2015년 15.9%에서 올해 19.7%로 늘었다. 서류-필기-면접의 3단계 전형을 하는 기업에서 생각하는 과정별 중요도는 면접이 56.2%로 가장 높았고 서류(24.2%), 필기(19.6%)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의 65.4%는 인턴 등 유사 직무 경험을 채용에 반영하고 있다고 답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