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맨’ 평균 월급 570만원…식당 근로자의 3배

‘금융맨’ 평균 월급 570만원…식당 근로자의 3배

입력 2017-06-22 13:47
업데이트 2017-06-22 1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업 규모별 임금격차도 심화…대기업 432만원 vs 영세기업 238만원

금융·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월 소득이 숙박 및 음식점업 종사자 소득의 3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대기업과 50인 미만 영세기업 간 월평균 소득 격차도 200만원에 육박해 기업 규모별 임금 격차도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임금근로일자리별 소득(보수) 분포 분석을 보면 2015년 기준 금융 및 보험업 종사자의 평균 월 소득은 578만원으로 전체 업종 중 가장 높았다.

한국전력 등 공기업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이 546만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정부기관이 포함된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427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광업(411만원), 출판·영상·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395만원)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평균 월 소득이 가장 낮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으로 173만원에 그쳤다. 가장 평균소득이 높은 금융 및 보험업의 30%를 밑도는 수준이다.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199만원)도 20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28만원),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238만원) 등도 평균 소득이 낮게 나타났다.

평균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 지점의 소득을 뜻하는 중위소득은 금융 및 보험업이 43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숙박 및 음식점업이 145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직원 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소득도 높은 모습을 보였다.

300인 이상 대기업 직원의 평균 월 소득이 432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50∼300인 미만 기업체 직원은 312만원, 50인 미만은 238만원이었다.

특히 고소득 직원일수록 기업규모에 따른 비중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 650만원 이상 직원 비중은 300인 이상 기업이 16.0%였지만 50∼300인 미만 기업은 5.6%, 50인 미만 기업은 3.0%에 불과했다.

85∼150만원 미만 직원 비중은 50인 미만 기업이 30.8%에 달한 반면 300인 이상 기업은 9.6%, 50∼300인 미만 기업은 14.8%였다.

300인 이상 기업의 중위소득은 367만원이었으며 50∼300인 미만 기업은 246만원, 50인 미만 기업은 180만원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