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프랜차이즈 연 매출 1억 4000만원…편의점 3분의 1

치킨 프랜차이즈 연 매출 1억 4000만원…편의점 3분의 1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7-06-23 13:37
업데이트 2017-06-23 1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킨집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이 편의점의 3분의 1 정도인 1억 40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치킨 가맹점 광고판
치킨 가맹점 광고판 서울신문 DB 자료사진
전체 프랜차이즈 영업 이익은 3년 전에 비해 나아졌지만 여전히 10%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박·음식업체 10곳 중 7곳은 하루 10시간 이상 영업했고 10곳 중 1곳은 월 휴무일이 없었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의 ‘2015년 기준 경제총조사 확정결과’를 발표했다.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직전 조사인 2012년보다 22.9% 늘었고 종사자는 35.9% 늘었다.

전체 프랜차이즈 매출액은 50조 3000억원으로 직전 조사인 2012년보다 42.0% 증가했다.

가맹비용, 임대료, 보증금, 인건비 등 영업 비용을 빼면 영업이익은 46.3% 늘어난 5조원이었다.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인 영업이익률은 9.9%였다.

2012년보다 0.3%포인트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한 자릿수였다.

가맹점당 매출액은 2억 7840만원, 가맹점당 영업이익은 2740만원으로 집계됐다.

산업별로 가맹점당 영업이익을 보면 기타서비스업이 311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도·소매업 2890만원, 숙박·음식점업이 2610만원 순이었다.

기타서비스업 평균 영업이익이 10.3% 늘었고 숙박·음식점업(30.0%), 도·소매업(4.3%)에서도 평균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편의점, 치킨, 커피 전문점 등 주요 프랜차이즈 3대 업종만 보면 가맹점 수에선 편의점이 2만 9628개로 16.4%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다.

치킨집은 2만 4719개로 13.7%, 커피전문점의 가맹 사업체가 1만 4017개로 7.8%로 집계됐다.

가맹점당 매출액은 편의점이 2014년보다 0.3% 줄어든 4억 2970만원이었다.

편의점 평균 매출액은 치킨집(1억 3580만원)의 3.1배였다.

치킨집은 커피전문점(1억 6120만원)보다 평균 매출액이 작았지만 증가율은 19.0%로 3대 업종 가운데 가장 높았다.

사업체 영업시간을 조사한 결과 숙박·음식점업은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8.8%포인트 상승한 73.4%에 달했다. 12∼14시간 미만이 28.5%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은 10∼12시간 미만이 33.3%로 가장 비중이 컸다.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도·소매 사업체는 65.7%에 달해 2010년보다 12.7%포인트나 증가했다.

예술·스포츠·여가 업종은 14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37.9%로 영업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었다.

독서실 운영업(92.9%), 컴퓨터 게임방(92.8%), 체력단련시설 운영업(72.0%) 등의 영향이다.

전체적으로는 하루 10시간 이상 영업하는 사업체가 절반에 가까웠다.

하루 8∼10시간 미만 영업하는 사업체 비중이 30.8%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10∼12시간 미만(28.5%), 12∼14시간 미만(18.3%) 순이었다.

월평균 4∼5일 쉰다는 사업체가 전체 36.5%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월 휴무일이 없다는 사업체도 27.9%에 달했다. 예술·스포츠·여가(62.5%), 광업(55.8%), 숙박·음식점(49.8%) 등이 쉬지 않고 일하는 비율이 높았다.

월 8일 이상 휴무는 25.7%로 금융·보험(91.9%), 출판·영상·방송(79.9%)에서 그 비중이 컸다. 

산업별 영업 활동과 밀접한 항목을 조사한 결과 2015년 광업·제조업 출하액은 1698조원, 출하액에서 영업 비용을 뺀 영업이익은 129조원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률은 7.6%로 직전 조사인 2010년보다 3.7%포인트 하락했다.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 매출액은 148조 3000억원, 영업이익은 13조 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률은 0.3%에서 11.6%로 뛰었다.

건설업 매출액은 213조원으로 집계됐다.

그중 건설공사 수입액이 183조원(86%), 분양수입액이 19조원(8.9%), 기타수입액이 11조원(5.1%)로 나타났다.

숙박업 2015년 총 객실 수는 111만 1000실로 2010년보다 13.5% 늘었다.

숙박업 사업체당 객실 수는 21실로 2010년(20실)보다 증가했다.

음식점업 및 주점업 총 객석 수는 2637만 6000석으로 9.0% 증가했다.

사업체당 객석 수는 40석으로 2010년(42석)보다 줄었다.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을 보면 연구개발업 종사자는 21만 5200명으로 집계됐다.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개발업 종사자가 19만 4300명으로 전체의 90.3%, 인문 및 사회과학 연구개발업 종사자는 2만 900명으로 9.7%에 그쳤다.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는 63만 2000명이었고 그중에선 보육교사 24만 4000명(38.6%), 돌봄인 12만 4000명 (19.6%), 사회복지사 7만 9000명(12.5%) 순으로 많았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연간 총 이용 인원수는 14억 7167만명이었다. 직전 조사보다(13억 4977만명) 9.0% 늘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