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5% 원안대로 ‘거수기’ 가결
국내 상장사 감사위원회가 지난해 1686건의 안건을 의결하면서 부결한 안건은 단 1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주를 대신해 감시 책임을 짊어진 감사위원회가 ‘거수기’ 역할만 한다는 지적이다.감사위원회의 활동도 미흡했다. 262곳(60.6%)이 연 4회 이하로 감사위원회 회의를 개최했고, 한번도 회의를 하지 않은 곳도 17곳(3.9%)이나 있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형사가 평균 5.49회, 중형사와 소형사는 각각 4.35회와 3.99회 개최했다. 미국의 ▲대형사 7.91회 ▲중형사 6.69회 ▲소형사 5.63회와 비교하면 평균 1~2회가량 적게 열린 셈이다.
김유경 삼정KPMG ACI 리더는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횟수를 늘리고 감사위원들은 회의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투여해야 한다”며 “회의에서도 건설적인 논쟁과 활발한 의견 교환이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감사위원이나 감사의 여성 비율은 선진국에 비해 매우 적었다. ‘유리천장’에 막혀 있는 것이다. 감사위원의 경우 1319명 중 27명(2.0%)만이 여성이었고, 감사는 1429명 중 30명(2.1%)에 불과했다. 노르웨이(43.9%), 프랑스(36.0%), 영국(29.2%), 미국(16.7%) 등 주요 국과 비교해 최하위 수준이다. 감사의 평균 보수는 4865만원, 감사위원은 4460만원으로 집계됐다. 미국과 영국 주요 기업의 20∼50% 수준에 불과하다. 감사위원회를 설치한 상장사는 최근 3년간 84개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보였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7-07-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