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반떼·K3 등 현대기아車 30만대 ‘브레이크 불량’ 리콜

아반떼·K3 등 현대기아車 30만대 ‘브레이크 불량’ 리콜

입력 2017-12-15 07:01
업데이트 2017-12-15 07: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반떼(MD)와 K3(YD) 등 현대·기아자동차의 4개 차종 30만대가 브레이크 불량으로 리콜됐다.

1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대·기아차 4개 차종 30만6천441대는 브레이크 페달과 제동등 스위치 사이에서 완충 기능을 하는 부품(브레이크 페달 스토퍼)이 약하게 제작된 것이 문제가 됐다.

이 때문에 시동이 걸린 주차(P) 상태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변속기가 조작돼(P단→D단) 운전자 의도와 달리 차량이 움직이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리콜됐다.

한국GM 다마스 밴 등 4개 차종 1만2천718대는 보행자에게 자동차 후진을 알리거나 운전자에게 자동차 후방 보행자 근접 여부를 알려주는 후진 경고음 발생장치 등이 설치되지 않아 자동차 안전기준 위반으로 리콜됐다.

국토부는 자동차관리법 제74조에 따라 한국GM에 과징금 약 1억1천1백만원을 부과할 예정이다.

마세라티 콰트로포르테 GTS 79대는 저압 연료펌프 관련 배선 결함으로 연료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 리콜 대상에 올랐다.

벤츠 AMG G 65 등 2개 차종 16대는 전자식 주행 안정장치(ESP) 프로그램 오류로 적응식 정속주행 시스템(디스트로닉 플러스)이 오작동 할 수 있어 리콜됐다.

적응식 정속주행 시스템은 센서와 레이더 등을 통해 주행 속도와 차간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운전자 보조 시스템이다.

도요타 프리우스 PHV 10대는 시스템 보호용 퓨즈 용량이 작아 퓨즈가 단선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돼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이번 리콜과 관련, 해당 제작사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시정 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리콜 시행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 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비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현대자동차(☎ 080-600-6000), 기아자동차(☎ 080-200-2000), 한국GM(☎ 080-3000-5000), 에프엠케이(☎ 1600-0036),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080-001-1886), 한국토요타자동차(☎ 080-525-8255)로 문의하면 된다.

국토부는 자동차 제작결함 정보를 수집·분석하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 ☎ 080-357-2500)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차량의 리콜 대상 여부 및 구체적 제작결함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