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은 2020년 ‘아시아 최고 투자은행 진입’이란 중장기 목표를 이루기 위해 적극적으로 베트남 등 해외시장 공략에 힘쓰고 있다. 한투증권은 이를 위해 2008년 베트남 현지 사무소를 개소한 뒤 2010년 6월 베트남 현지 증권사인 EPS증권과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하고 2010년 11월 자본금 납입을 완료했다. 이후 베트남법인 ‘KIS 베트남’은 2015년 현지 증권사 ‘톱 10’에 진입하는 등 대형 증권사로 성장했다. KIS 베트남의 지난해 말 기준 현지 브로커리지 시장점유율은 호찌민 거래소 9위, 하노이 거래소 6위다.
예탁자산은 지난 11월 말 기준 2200억원으로, 아시아에 진출한 첫 증권사 성공 사례로 성장했다. 여기에 2014년 예외적으로 외국인 투자지분 한도 증자를 승인받으면서 기존 49%였던 투자지분을 98.7%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차헌도 KIS 베트남 본부장은 “호찌민 본사와 6개 영업점의 전체 직원 193명 중 주재원은 3명에 불과할 정도로 현지 전문인력으로 운영 중”이라면서 “한투증권은 베트남 진출 전부터 베트남 공무원들과 업무를 함께하며 신용을 쌓은 점도 성공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차 본부장은 이어 “2012년부터 매년 두 차례 현지 개인 및 법인 투자자들을 상대로 세미나를 열고 있다”며 “투명성과 전문성에서 현지 증권사보다 월등한 만큼 KIS 베트남의 성장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찌민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예탁자산은 지난 11월 말 기준 2200억원으로, 아시아에 진출한 첫 증권사 성공 사례로 성장했다. 여기에 2014년 예외적으로 외국인 투자지분 한도 증자를 승인받으면서 기존 49%였던 투자지분을 98.7%까지 확대할 수 있었다.
차헌도 KIS 베트남 본부장은 “호찌민 본사와 6개 영업점의 전체 직원 193명 중 주재원은 3명에 불과할 정도로 현지 전문인력으로 운영 중”이라면서 “한투증권은 베트남 진출 전부터 베트남 공무원들과 업무를 함께하며 신용을 쌓은 점도 성공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차 본부장은 이어 “2012년부터 매년 두 차례 현지 개인 및 법인 투자자들을 상대로 세미나를 열고 있다”며 “투명성과 전문성에서 현지 증권사보다 월등한 만큼 KIS 베트남의 성장세는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호찌민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7-12-27 3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