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대통령 재임 시절 자산과 매출 연평균 26%, 16%씩 성장
이명박 전 대통령이 실소유주라는 의심을 받는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가 이 전 대통령 재임 시절 급성장해 10년 새 자산이 4배 넘게 불어난 것으로 드러났다.27일 재벌닷컴이 2007∼2016년까지 10년간 다스 재무와 영업실적 변동을 조사한 결과 다스의 연결 자산 규모는 작년 말 현재 9천18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 전 대통령이 당선되기 직전인 2007년 말 2천60억원의 4.5배에 달하는 것이다.
연결 기준 매출 규모는 2007년 말 4천820억원에서 작년 말 1조2천727억원으로 2.6배 성장했다.
다스는 특히 이 전 대통령 재임 시절인 2008년부터 2012년 사이 몸집이 급속히 커졌다.
이 기간 다스의 자산과 매출 규모는 연평균 각각 26%, 16%씩 성장했다.
반면 이 전 대통령이 물러난 2013년부터 작년까지 다스의 자산은 연평균 18%, 매출은 7% 각각 증가했다. 재임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 증가율이 절반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다스는 2천614억원의 순이익을 남겼으나, 같은 기간 기부금 합계는 4억5천400만원으로 연평균 5천만원에 못 미쳤다.
특히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중이던 2008년부터 2012년까지 5년간 자산과 매출 급증으로 모두 1천266억원의 순이익을 남기고도 기부금은 9천700만원에 불과했다.
다스는 이 전 대통령이 설립한 청계재단이 주주로 참여한 2010년 이후 주주 배당을 해 작년 말까지 모두 85억4천300만원의 현금을 주주들에게 배당했다.
다스의 주주 분포를 보면 작년 말 기준으로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은 회장(47.26%)을 비롯한 친인척이 75.1%를 갖고 있으며, 2011년 주주로 참여한 기획재정부와 재단법인 청계가 각각 19.91%, 5.03%를 보유하고 있다.
검찰 ‘다스 횡령 등 의혹 고발사건 수사팀’은 지난 26일 발족해 우선 다스 자금 120여억원의 성격 규명에 주력하기로 하고 관련 계좌를 들여다보는 한편 고발인과 피고발인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