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나 상위 20%가 건강히 오래 산다…건강불평등 심각

어디서나 상위 20%가 건강히 오래 산다…건강불평등 심각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26 17:17
업데이트 2018-03-26 17: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강수명 서울 69.7세 최고…철원, 소득 상하위 수명차 11년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어디에서나 소득 상위 20% 계층이 하위 20% 계층보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원 철원군의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 격차는 11.4년, 전남 고흥군의 건강수명 격차는 21.2년에 달했다. 서울은 5.9세로 차이가 덜했다.

기대수명은 0세의 출생아가 앞으로 몇 살까지 살 것인지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로 평균수명이라고도 하고, 건강수명은 기대수명 중 건강하게 삶을 유지한 기간을 말한다.

한국건강형평성학회는 26일 이런 내용이 담긴 ‘17개 광역시도 및 252개 시군구별 건강불평등 현황’을 발표했다. 이는 2010∼ 2015년 건강보험공단 자료 2억9천500만건과 154만명의 사망자료, 2008∼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등을 분석한 결과다.

◇ 기대수명, 서울·경기 과천 가장 높아

조사 내용을 보면, 건강불평등은 전 지역에서 명료하게 나타났다.

먼저 17개 시도 중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로 83.3세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전남으로 80.7세로 서울보다 2.6세 적었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집단 간 기대수명 격차는 강원·전남이 7.6년으로 가장 컸고, 부산 6.7세, 서울 5.9세 등이었다. 격차가 가장 작은 지역은 울산으로 4.3년이었다.

252개 시군구 중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과천시로 86.3세, 가장 낮은 지역은 경북 영양군으로 78.9세였다. 두 지역 간 기대수명 차이는 7.4년이다.

같은 지역서 소득 간 기대수명 격차는 강원 철원군에서 11.4년으로 가장 컸고, 울산 북구는 가장 작은 2.6년이었다.

서울을 들여다보면, 25개 자치구 가운데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구로 84.8세였다. 가장 낮은 지역은 금천구로 81.7세였다. 소득수준 간 기대수명 격차가 가장 작은 지역은 강동구로 3.8년이고, 가장 큰 지역은 중구로 8.8년이었다.

남성 소득 하위 20% 집단의 기대수명이 2013년도 북한 남성 평균 기대수명(68.7세)에 미치지 못한 지역은 강원 철원군, 충북 음성군, 전남 나주시 등 14곳이었다.

◇ 건강수명도 같은 지역서 최대 21년 차이

우리 국민의 건강수명을 살펴보면, 시도 중에서는 서울의 건강수명이 69.7세로 가장 높았고 경남은 64.3세로 가장 낮았다. 양 지역의 차이는 5.3년이다.

소득수준 간 건강수명 격차는 전남이 13.1년으로 가장 컸고 인천이 9.6년으로 가장 작았다.

시군구 중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 가장 낮은 지역은 경남 하동군으로 각각 74.8세, 61.1세였으며, 양 지역의 차이는 13.7년이었다.

소득수준 간 건강수명 격차는 전남 고흥군에서 21.2년으로 가장 컸고, 경기 수원시 영통구에서 4.4년으로 가장 낮았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건강수명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로 74.3세, 가장

낮은 지역은 금천구로 67.3세였고, 격차가 가장 작은 지역은 성동구로 5.5년, 가장 큰 지역은 종로구로 14.4년이었다.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의 차이, 즉 건강하지 못한 상태로 사는 기간이 가장 긴 시군구는 경남 남해군(18.6년), 경남 하동군(18.6년), 전북 고창군(18.4년) 등이 있었고 기간이 짧은 지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9.5년), 경북 성주군(10년), 서울 서초구(10.1년) 등이었다.

학회는 “6·13 지방선거에서 건강불평등 문제를 정책의제로 만들기 위해 시민사회단체와 활동하겠다”면서 “학자들로 지역별 모임을 구성해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후보들이 건강불평등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