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이번엔 풀릴까”…유통·관광업계 조심스런 ‘기대’

“사드 보복 이번엔 풀릴까”…유통·관광업계 조심스런 ‘기대’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8-04-01 22:14
업데이트 2018-04-02 00: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 “정상화 환영… 호응할 것”

사업 기대감 내부선 “안심 일러”
“유커 복귀 최소 3~6개월 걸려”


중국의 사드 보복 중단 기류가 조성되면서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 축배를 들기엔 이르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사드 부지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보복 직격탄을 맞은 롯데그룹은 1일 “한·중 양국이 중국 진출 기업의 어려움을 정상화하기로 한 것에 대해 환영한다”면서 “중국 당국의 약속에 대해 신뢰를 갖고 호응하겠다”고 밝혔다. 롯데는 중국 현지에서 진행하던 각종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 잠정 중단, 중국 롯데마트 영업 중단, 국내 면세점 매출 감소 등으로 지난 1년 동안의 손실액이 2조원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견디다 못해 지난해 롯데마트를 중국에서 철수하기로 했지만 이마저도 매각사 측에서 중국 당국의 눈치를 보느라 난항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사드 보복이 중단되면 롯데마트 매각을 연내 마무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투자액만 3조원에 이르는 중국 선양의 롯데타운 건설 사업도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하지만 그룹 내부적으로는 여전히 불안감도 적지 않다. 한 관계자는 “최근 중국이 한국 관광을 부분적으로 허용하면서도 롯데와 관련된 상품은 금지하는 등 단서를 내걸었다”며 안심하기엔 이른 분위기라고 전했다.

유커(중국인 단체 관광객) 발길이 끊기면서 큰 타격을 입은 면세점과 관광업계는 “(유커가) 와야 오는 것”이라며 신중한 태도다. 한·중 정상회담과 한·중 경제장관회의 등의 빅이벤트가 있을 때마다 사드 보복 중단 기대감이 조성됐지만 실제 성과로 이어지지 않은 까닭에서다. 면세점업계 관계자는 “당장 유커를 대상으로 한 한국 관광상품이 사드 보복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온다 하더라도 이들이 실제 본격적으로 오려면 최소 3~6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올 하반기나 돼야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8-04-02 1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