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5년7개월만에 내렸다…3월 0.08%↓

서울 전셋값 5년7개월만에 내렸다…3월 0.08%↓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4-02 11:03
업데이트 2018-04-02 1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일대 아파트 밀집 지역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서울지역 주택 전셋값이 5년7개월 만에 하락했다.

2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주택(아파트·연립·단독주택 포함) 전셋값은 전월 대비 0.08% 하락했다.

월간 기준으로 서울 주택 전셋값이 떨어진 것은 2012년 8월 이후 5년7개월 만이다.

세입자의 주택 매수 전환에 따른 전세 수요 감소와 수도권 신규 아파트 입주 증가, 재건축 이주시기 조정 등으로 수요가 분산된 영향이 크다.

서울의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한달 새 0.13% 하락해 2월(-0.09%)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울산의 주택 전세 가격이 -0.43%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경남이 -0.36%·경기 -0.23%·경북 -0.16%·충남 -0.12%를 기록하는 등 지역 경기 침체와 입주물량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전셋값 하락 폭이 컸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전셋값이 -0.22%로 하락을 주도했고 연립주택이 -0.04%, 단독주택은 보합을 나타냈다.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면서 월세도 전월 대비 낙폭이 커졌다.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0.07%로 2월(-0.05%)대비 하락폭이 확대됐으며 특히 준전세(-0.10%)의 낙폭이 컸다. 서울의 월세는 2월에 0.01% 올랐으나 3월에는 0.04% 하락했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0.12%로 전월(0.20%)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의 주택 매매가격이 0.55%로 전월(0.94%)보다 오름폭이 크게 줄었고 지방은 전월과 동일한 0.04%의 하락세를 이어갔다.

경남(-0.25%)·울산(-0.24%)·충남(-0.19%)·충북(-0.09%)·부산(-0.08%)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고, 세종(0.21%)·전남(0.14%)·강원(0.09%) 등지는 전월대비 가격이 올랐다.

전국 주택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평균 68.3%로 전월(68.4%)대비 소폭 낮아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