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오른 유가’ 수입물가 상승 재개…지수 3년10개월만에 최고

‘다시 오른 유가’ 수입물가 상승 재개…지수 3년10개월만에 최고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0-16 10:01
업데이트 2018-10-16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가 80달러 돌파…수입물가 더 상승할수도

국제유가가 재차 오르며 수입물가 상승세도 재개했다.
이미지 확대
‘하늘은 높고 기름값은 오르는구나’
‘하늘은 높고 기름값은 오르는구나’ 14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주유소 모습. 2018.10.14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18년 9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90.69로 한 달 전보다 1.5% 올랐다.

수입물가는 올해 1∼7월 연속으로 상승하다가 8월 0.2% 떨어졌으나 하락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국제유가 고공행진이 8월 주춤하다 지난달 다시 시작된 영향을 받았다.

9월 두바이유는 배럴당 77.23달러로 8월보다 6.5%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 자체는 91.23을 기록한 2014년 11월 이후 가장 높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원유, 천연가스(LNG) 등을 중심으로 원재료 수입물가가 4.5% 올랐다.

석탄 및 석유제품 상승에 중간재는 0.3% 올랐고 소비재는 0.1% 상승, 자본재는 전월 대비 보합이었다.

품목별로는 광산품인 원유(6.5%)와 LNG(6.1%), 석탄 및 석유제품에 속하는 부탄가스(6.7%) 등에서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수입물가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공산이 있다.

한은 관계자는 “두바이유 기준으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를 넘었다”며 “유가가 계속해서 오름세를 보인다면 수입물가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출물가지수는 88.02로 한 달 전보다 0.3% 올랐다.

수출물가 상승률은 7월 2.5%에서 8월 0%로 쪼그라들었다가 소폭 확대했다.

수출물가 지수도 2014년 11월(88.57) 이후 최고였다.

수출물가의 주요 결정 요인인 원/달러 환율이 전원 대비 보합 수준을 보인 상황에서 석탄 및 석유제품 물가가 올랐기 때문이다.

농림수산품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1.2% 상승했고 공산품은 0.3% 올랐다.

세부적으로 보면 석탄 및 석유제품에 속하는 경유(5.9%), 휘발유(6.1%), 나프타(5.2%) 등이 수출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그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던 TV용 액정표시장치(LCD)(3.1%)도 중국 측의 공급 조절로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견줘 보면 수입물가는 9.7%, 수출물가는 1.4% 각각 상승했다.

환율 영향을 제거한 계약통화(실제 계약할 때 쓰는 통화) 기준 수입물가는 1.5%, 수출물가는 0.4% 각각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