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중국 부진’에 2월 수출 11.1%↓…석 달 연속 감소

‘반도체·중국 부진’에 2월 수출 11.1%↓…석 달 연속 감소

김태이 기자
입력 2019-03-01 10:37
수정 2019-03-01 11: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도체 수출 4분의 3토막…무역수지는 간신히 85개월 연속 흑자

이미지 확대
1948년 1900만 달러였던 수출액이 지난해 6054억 7000만 달러로 70년 동안 무려 3만 1867배 늘어난 가운데 1950년대만 해도 밀가루 등 원조물자의 수입 창구였던 부산항이 수출을 기다리는 컨테이너로 가득 차 있다. 서울신문 DB
1948년 1900만 달러였던 수출액이 지난해 6054억 7000만 달러로 70년 동안 무려 3만 1867배 늘어난 가운데 1950년대만 해도 밀가루 등 원조물자의 수입 창구였던 부산항이 수출을 기다리는 컨테이너로 가득 차 있다.
서울신문 DB
반도체 가격 하락세와 글로벌 경기 둔화 등에 따라 수출이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월 수출이 작년 동월 대비 11.1% 감소한 395억6천만달러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작년 12월(-1.2%), 올해 1월(-5.8%)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석 달 연속 감소는 2016년 7월 이후 30개월 만이다.

지난달 수입도 12.6% 감소한 364억7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무역수지는 31억달러에 그쳤다. 85개월 연속 무역흑자 기조는 간신히 유지했지만, 지난해 월평균 59억달러와 비교하면 대폭 감소했다.

산업부는 “2월 수출 감소는 중국과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 가격이 하락한 반도체 수출이 25% 정도 줄어든 게 큰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조업일 기준 2월 일평균 수출액은 20억8천만달러로 지난 1월(19억3천만달러)보다 많았다”고 밝혔다.

설 연휴 영향을 배제한 2월 일평균 수출 기준으로도 역대 3위인 점에 비춰 볼 때 비록 1월보다 수출감소율은 두 자릿수로 커졌지만, 연초에 급격한 수출악화로 보기는 곤란하다는 설명이다.

전체 수출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1등 품목인 반도체 수출의 경우 작년 말부터 이어진 가격 하락세와 수요 부진으로 24.8% 감소했다.

주력 제품인 D램(8Gb) 메모리 가격이 전년 대비 36.8% 급락하고 낸드(128Gb)는 25.2% 감소하는 등 수출단가가 하락했다.

올해 반도체 메모리 가격과 수출 하락 국면은 상저하고(上低下高) 추세에 따라 하반기에 안정화될 전망이다.

반도체와 함께 ‘수출 효자품목’인 석유제품(-14.0%), 석유화학(-14.3%)도 수출 감소세를 면하지 못했다.

국제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미국발 공급물량 증가 등으로 수출단가가 계속 하락한 탓이 컸다.

선박(-46.5%)은 2016년 세계 선박 발주량 급감에 따른 수주 하락 여파가 아직 남아있던 탓에 감소 폭이 컸으나 올 2분기부터는 무난히 회복될 전망이다.

2월에도 자동차(2.7%)·일반기계(2.7%)·철강(1.3%) 등 다른 수출 주력품목은 호조세를 유지했다.

신성장 산업인 바이오헬스(24.5%), 2차전지(10.7%), OLED(7.9%), 전기차(92.4%) 등과 농수산식품(2.9%)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작년 전체 수출의 26.8%를 차지했던 중국 수출이 17.4% 감소했다.

미·중 무역분쟁 등의 영향으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둔화하면서 4개월 연속 대중 수출이 감소했다.

최근 유럽연합(EU)의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 등 경기 둔화 영향에 EU 수출도 8.5% 감소했다.

글로벌 경기부진으로 독일, 일본 등 세계 10대 수출국도 작년 11월 이후 동반해서 수출이 감소 추세인 가운데 정부는 오는 4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출활력 제고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