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금융상황 긴축·부채 증가 등 위험”
세계은행도 “세계경제 리스크 확대 우려”
한국, 수출·투자 등 주요 실물지표 부진
1분기 성장률, 5분기 만에 최저 가능성
전문가 “정부가 적극적으로 돈 풀어야”
세계 경제 하방 가능성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 경제의 주요 실물 지표도 부진해 경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과 투자 모두 줄어들어 올 1분기 경제성장이 2017년 4분기 이후 5분기 만에 최저를 기록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돈을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의 24개 이사국 대표로 구성된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는 세계 경제의 하방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IMFC는 회의 개최 후 발표한 성명에서 “세계 경제 확장세는 지속하고 있으나 지난해 10월 예상한 것보다 느리다”면서 “갑작스러운 금융 상황 긴축, 높은 부채 수준, 금융 취약성 증대 등 하방 위험이 상존한다”고 전망했다. 이날 회의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국제 공조를 통해 정치·경제적 하방 리스크에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기획재정부는 전했다.
같은 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위원회와 지난 11~12일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제기됐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반적으로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확대되는 분위기”라면서 “수출 등 대외 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타격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경제도 쉽지 않게 돌아가고 있다. 지난 12일 기재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부진’이라는 단어를 2016년 12월 이후 28개월 만에 썼다. 기재부는 한국 경제 상황을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반도체 업황 부진 등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설 연휴 요인을 배제한 1~2월 평균 광공업 생산과 설비투자, 수출 등 주요 실물지표 흐름이 모두 부진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실물경제가 침체되면서 1분기 GDP 속보치가 전기 대비 0%대 초반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경우 2017년 4분기(-0.2%) 이후 5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 된다.
이는 1월 전체 산업생산이 지난해 12월보다 0.9% 증가에 그쳤고, 2월에는 1.9% 감소하며 2013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기 때문이다. 민간만 놓고 보면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부가 1~2월 전체 재정의 20%를 쏟아부은 것이 얼마나 효과를 낼 것인지가 변수로 꼽힌다.
세계와 한국 경제에 동시에 빨간불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정부가 좀더 적극적으로 확대 재정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당초 1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추가경정예산 규모가 7조원으로 줄었는데, 경기부양 효과도 그만큼 줄어들게 됐다”면서 “금리 인하나 개별소비세 감면 기간 연장 등 경기 활성화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식 교수는 “결국 수출이 해결돼야 하는데, 미국과의 관계나 부동산 가격 급등 등을 생각했을 때 환율이나 금리를 건드리기는 쉽지 않다”면서 “(재정이) 일자리와 경기부양 효과가 큰 사업에 투입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세계은행도 “세계경제 리스크 확대 우려”
한국, 수출·투자 등 주요 실물지표 부진
1분기 성장률, 5분기 만에 최저 가능성
전문가 “정부가 적극적으로 돈 풀어야”
1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의 24개 이사국 대표로 구성된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는 세계 경제의 하방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IMFC는 회의 개최 후 발표한 성명에서 “세계 경제 확장세는 지속하고 있으나 지난해 10월 예상한 것보다 느리다”면서 “갑작스러운 금융 상황 긴축, 높은 부채 수준, 금융 취약성 증대 등 하방 위험이 상존한다”고 전망했다. 이날 회의에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IMF 총재는 국제 공조를 통해 정치·경제적 하방 리스크에 대응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고 기획재정부는 전했다.
같은 날 워싱턴DC에서 열린 세계은행 개발위원회와 지난 11~12일 열린 주요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도 비슷한 우려가 제기됐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전반적으로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확대되는 분위기”라면서 “수출 등 대외 경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타격이 적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 경제도 쉽지 않게 돌아가고 있다. 지난 12일 기재부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부진’이라는 단어를 2016년 12월 이후 28개월 만에 썼다. 기재부는 한국 경제 상황을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반도체 업황 부진 등 대외 여건 악화에 따른 하방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설 연휴 요인을 배제한 1~2월 평균 광공업 생산과 설비투자, 수출 등 주요 실물지표 흐름이 모두 부진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오는 25일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치를 발표할 예정이다. 실물경제가 침체되면서 1분기 GDP 속보치가 전기 대비 0%대 초반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 경우 2017년 4분기(-0.2%) 이후 5분기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 된다.
이는 1월 전체 산업생산이 지난해 12월보다 0.9% 증가에 그쳤고, 2월에는 1.9% 감소하며 2013년 3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했기 때문이다. 민간만 놓고 보면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정부가 1~2월 전체 재정의 20%를 쏟아부은 것이 얼마나 효과를 낼 것인지가 변수로 꼽힌다.
세계와 한국 경제에 동시에 빨간불이 들어오는 상황에서 전문가들은 정부가 좀더 적극적으로 확대 재정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당초 10조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추가경정예산 규모가 7조원으로 줄었는데, 경기부양 효과도 그만큼 줄어들게 됐다”면서 “금리 인하나 개별소비세 감면 기간 연장 등 경기 활성화에 강하게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식 교수는 “결국 수출이 해결돼야 하는데, 미국과의 관계나 부동산 가격 급등 등을 생각했을 때 환율이나 금리를 건드리기는 쉽지 않다”면서 “(재정이) 일자리와 경기부양 효과가 큰 사업에 투입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9-04-15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