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콩 껍질을 섞은 재료로 만든 자동차 헤드라이트 부속.
포드자동차
포드자동차
포드는 버려질 커피콩 껍질에 플라스틱 등을 섞은 재료를 자동차 내장재 및 하부 부품으로 가공해 쓸 계획입니다. 커피콩 껍질을 쓰면 제작 과정에서 에너지 소비가 25% 감소한다고 합니다. 소각하던 커피콩 껍질을 재활용하니 친환경적일 것은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이게 전부가 아닙니다. 커피콩 껍질을 섞은 부품은 섞지 않은 것보다 20% 가볍고 열에도 더 강합니다. 포드가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회사 맥도널드에서 커피콩 껍질을 지속해서 받기로 한 만큼 이번 개발이 일회성으로 끝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자동차 내장재가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려고 고민하는 것은 포드뿐이 아닙니다. 스웨덴의 볼보, 영국의 애스턴마틴은 스코틀랜드의 소규모 업체와 손잡고 육우 가죽으로 자동차 시트를 만든다고 합니다. 가죽 생산용 소를 사육하고 도축하는 것보다 환경에 미치는 해가 훨씬 적겠죠. 독일 BMW는 전기차 i3의 내장재를 고를 때 재활용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거기에 비하면 우리 자동차 회사들의 발걸음은 더딥니다. 수소, 전기 등 친환경 연료로 움직이는 차를 만들기는 하지만, 아직 부품까지 신경 쓰고 있지는 않거든요. 한 국내 자동차 회사 관계자는 “우리 차 중에 재활용 또는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차는 없다. 당분간 그럴 계획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아쉽습니다. 자동차 만드는 기술이야 선진국을 단숨에 따라잡기 쉽지 않겠지만 친환경 쪽은 발상의 전환만으로도 유럽, 미국 업체보다 우위에 설 가능성이 있으니까요. 그리고 그 윤리적 우위를 판매량 증가로 연결할 수도 있을 테니까요.
“소비자들이 특정 제품의 생산 과정에서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착한 소비’ 추세는 앞으로 더 심해질 것이다. 환경친화적 기술 개발은 이제 비용이 아니라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블루오션”이라던 한 재계 인사의 말이 자꾸만 기억납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