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이상 고용률 61.7%…취업자 33만 1000명 증가
보건·복지 13.5만명↑ 숙박·음식점 8.2만명↑제조업 2.6만명↓…20개월째 마이너스 기록
60대 이상 취업자 41만명↑·40대 18만명↓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판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2/SSI_20191112135856_O2.jpg)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판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2/SSI_20191112135856.jpg)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게시판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19년 1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751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33만 1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폭은 8월(45만 2000명), 9월(34만 8000명), 10월(41만 9000명)에 이어 넉 달 연속 30만명대 이상을 기록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일자리 질’ 측면에서는 회복을 낙관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저임금 일자리가 밀집한 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만 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8만 2000명),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8만 2000명) 등에서 주로 늘었다.
반면 도·소매업(-8만 8000명), 건설업(-7만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만 6000명) 등에서는 줄었다. 제조업(-2만 6000명)은 20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다만 감소폭이 2만명대로 줄어들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가 59만 3000명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11만 1000명, 임시근로자는 5만 4000명 각각 감소했다. 일용근로자와 임시근로자 모두 감소폭이 전월보다 확대됐다.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외국기업의 면접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2/SSI_20191112135752_O2.jpg)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외국기업의 면접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11/12/SSI_20191112135752.jpg)
12일 서울 롯데호텔 잠실점에서 열린 2019 하반기 글로벌 일자리대전에서 구직자들이 외국기업의 면접을 보고 있다. 2019. 11. 12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연령계층별로는 60대 이상(40만 8000명), 20대(7만명), 50대(6만 5000명)에서 늘어났다. 노인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재정 일자리’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반면 40대(-17만 9000명)와 30대(-2만 6000명)는 취업자가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7%로 1년 전보다 0.3% 포인트 올랐다. 11월 기준으로 1996년(61.7%) 이후 23년 만에 최고치다. 고용률은 올해 들어 1월(-0.3% 포인트)과 4월(-0.1% 포인트)을 빼고 모든 달에서 1년 전보다 상승했다.
연령계층별로는 40대 고용률(-1.1% 포인트)이 유일하게 하락했다. 40대 고용률 하락폭은 2009년 12월(-1.1%포인트) 이후 가장 컸다. 청년층 고용률(15~29세)은 44.3%로 1.1% 포인트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7.4%로 1년 전보다 0.3% 포인트 상승했다. 1989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동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달 실업자는 86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4만 3000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1%로 1년 전보다 0.1% 포인트 하락했다. 청년 실업률은 7.0%로 0.9% 포인트 떨어졌다. 같은 달 기준 2012년(6.7%)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는 5만 3000명 증가한 1624만 5000명이었다. 활동상태별로 보면 쉬었음(31만 4000명) 등에서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가사(-13만 6000명), 재학·수강 등(-13만 3000명)에서는 감소했다.
취업 준비자는 73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5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8만 7000명으로 4만 8000명 줄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