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속도 세계 3위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상승속도 세계 3위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9-12-16 14:11
업데이트 2019-12-16 1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기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92.9%
9년째 경제성장률보다 높은 가계부채 증가률
지난해 상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빠른 속도로 상승했다.

16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한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2.9%다. BIS가 조사한 43개국 가운데 8번째로 높은 수치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한국의 명목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6%포인트 올랐다. 홍콩(4.3%포인트)과 중국(3.9%포인트)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아울러 가계부채가 명목 경제성장률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는 현상은 9년째 이어지고 있다. 2010년 2분기 가계부채는 2009년 2분기보다 9.1% 늘어났다. 같은 기간 명목 경제성장률(10.6%)보다 증가폭이 낮았다.

하지만 2010년 3분기부터 가계부채 증가률(9.7%)이 명목 경제성장률(8.3%)을 앞지른 이후 올 2분기까지 같은 현상이 지속됐다. 2017년 이후에는 부동산 안정 대책 중 하나인 대출 규제 강화로 가계부채 증가 폭은 이전보다 낮아졌지만, 저물가·저성장으로 경제성장률도 둔화했다.

9∼10%대를 보이던 가계부채 증가 속도는 2017년 4분기 7.9%로 낮아진 뒤 올해 1분기에는 5.2%, 2분기에는 4.7%까지 내려갔다. 명목 경제성장률은 2017년 4.7%에서 지난해 1분기 3.7%를 기록했고, 올해는 1분기(1.2%), 2분기(1.3%) 모두 1%대로 주저앉았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자체가 위험하다기 보다는 빠르게 그 비율이 올라가고 있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며 “이러한 비율 증가 속도가 긍정적인 신호라고 볼 수는 없다”고 말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