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배추·무 생산량 감소… 배추가격 전년비 52% 상승

가을 배추·무 생산량 감소… 배추가격 전년비 52% 상승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12-23 16:46
수정 2019-12-23 16: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포장김치가 진열되어 있다. 가을 배추가 한창 자라는 시기인 9월에 들이닥친 태풍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평년보다 90% 넘게 뛰어 소비자는 김장 대신 포장김치를 사 먹거나 대형마트와 사전계약으로 값이 오르지 않은 절임 배추를 찾고 있다. 2019.10.2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27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포장김치가 진열되어 있다. 가을 배추가 한창 자라는 시기인 9월에 들이닥친 태풍의 영향으로 배춧값이 평년보다 90% 넘게 뛰어 소비자는 김장 대신 포장김치를 사 먹거나 대형마트와 사전계약으로 값이 오르지 않은 절임 배추를 찾고 있다. 2019.10.2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올해 가을 배추와 무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김장철 비용 부담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까지 가격 하락으로 재배면적이 감소한데다, 작황도 좋지 않았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23일 통계청의 생산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가을배추 생산량은 105만 9925t으로 전년동기대비 24.5%(34만 4225t) 줄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가을배추 도매가격(전년 11월~당년 6월 평균)은 2017년 ㎏당 805원에서 지난해 720원, 올해 491원으로 하락세다. 여기에 9월 태풍과 잦은 강우로 재배면적이 1만968ha로 1년 전보다 17.6% 감소했다. 태풍과 일조량 부족으로 작황이 조지 않아 10a(1000㎡)당 생산량은 9664kg으로 8.4%나 감소했다.

가을무 생산량도 같은기간 13.3%(6만2300t)감소한 40만 4804t으로 집계됐다. 가을무 도매가격도 2017년 901억원에서 올해 420원으로 크게 떨어져 재배 수요가 감소, 재배면적(5344ha)이 1년새 12.3% 줄었다. 작황도 부진해 10a당 생산량은 7575kg으로 1.1% 감소했다. 시도별 가을배추 생산량은 전남이 27만34t으로 가장 많았다. 가울무는 경기가 가장 많은 9만2621t을 생산했다.

올해 가을배추·무 생산이 줄자 김장 비용이 지난해보다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aT에 따르면 이달 평균 가을배추 포기당 소매가격(상품)은 기준 3422원으로 전년동월대비 52.2%(1174원) 올랐다. 가을무의 개당 소매가격은 같은기간 85.6%(1287원)나 오른 2791원을 기록했다. 시중 공급물량이 줄면서 소비자 가격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