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사상 최대…순대외금융자산 3년 만에 감소

작년 외국인 국내 주식 투자 사상 최대…순대외금융자산 3년 만에 감소

김승훈 기자
입력 2021-02-19 14:38
업데이트 2021-02-19 14: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우던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이 지난해 3년 만에 감소했다.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투자보다 외국인들의 국내 투자가가 더 증가하면서다. 외국인들의 국내 채권투자도 늘어나면서 순대외채권도 금융위기 이후 12년 만에 감소했다.

19일 한국은행의 ‘2020년 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순대외금융자산은 4414억 달러로 1년 전 5009억 달러보다 595억 달러 감소했다. 순대외금융자산은 대외금융자산에서 대외금융부채를 뺀 것으로, 2018과 2019년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다 3년 만에 줄어들었다. 지난해 대외금융자산과 대외금융부채 모두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대외금융부채가 더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대외금융자산은 1조 936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63억 달러 늘었다. 이 중 우리나라 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6954억 달러)이 1년 전보다 1234억 달러 증가했다. ‘서학개미’로 불리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지분증권 투자가 늘어난 가운데 미국 주가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다.

대외금융부채는 1조 4946억 달러로 2958억 달러 증가했다. 비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9763억 달러)이 전년 대비 2350억 달러나 늘었다. 한은은 “국내 주가가 상승한 데다 원화 강세로 외국인들이 보유한 지분 가치가 올라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뺀 순대외채권은 4782억 달러로 1년 전(4806억달러)보다 24억 달러 줄었다. 금융위기가 터졌던 2008년 이후 12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대외채권은 1조 207억 달러로 전년 대비 731억 달러 증가했고, 대외채무는 5424억 달러로 전년보다 755억 달러 늘었다. 한은은 “순대외채권 규모는 줄었지만 외국인이 국내 채권투자를 증가한 것이 주원인인 만큼 대외신인도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준비자산(대외결제를 위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5.5%로, 전년 대비 2.6%포인트(p) 높아졌다. 대외채무 가운데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29.0%)도 0.2%p 상승했다. 둘 다 2012년(31.1%, 38.8%) 이후 최고치다. 한은은 “단기외채 비율이 오른 건 기관 투자자의 해외 증권투자가 늘고 국내 은행의 예비적 자금 확보를 위한 외화차입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단기외채 비율이 과거 수준과 비교해 크게 낮고, 중앙은행 통화스와프 한도를 고려할 때 안정적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대외채무는 5424억 달러로 1년 전보다 755억 달러 늘었다. 단기외채(1575억 달러)가 예금취급기관의 차입금 위주로 230억 달러 증가했고, 장기외채(3850억달러)도 정부의 부채성 증권이 282억 달러 늘어나는 등 525억 달러 불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