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지난해 연봉 45억… 금융권 CEO ‘연봉킹’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 지난해 연봉 45억… 금융권 CEO ‘연봉킹’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1-03-31 20:48
업데이트 2021-03-31 2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카드·캐피탈·커머셜서 보수 받아
지주사 1위 윤종규 KB금융 회장 2배

정태영(61) 현대카드 부회장이 지난해 연봉 44억 8700만원을 받으면서 금융권 현역 최고경영자(CEO) ‘연봉킹’에 등극했다. 정 부회장은 현대카드, 현대캐피탈, 현대커머셜 등 계열사 3곳에서 보수를 받았다.
이미지 확대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정 부회장은 지난해 현대카드에서 16억 9500만원, 현대캐피탈에서 14억 3100만원, 현대커머셜에서 13억 6100만원을 각각 받았다.

정 부회장의 연봉은 여신전문금융업계뿐 아니라 금융권 전체를 통틀어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 CEO 중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24억 9700만원)이나 오너 경영자인 정몽윤 현대해상 회장(22억 7000만원)의 2배에 가까운 수치다.

퇴직자까지 범위를 넓히면 원기찬 전 삼성카드 대표이사가 퇴직금 47억 600만원을 포함해 모두 70억 1800만원을 받았다.

이밖에도 카드업계에서는 정 부회장에 이어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이 10억 200만원으로 연봉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이동철 KB국민카드 대표이사는 8억 9700만원, 임영진 신한카드 대표이사는 8억 2400만원, 조좌진 롯데카드 사장은 6억 5900만원을 각각 받았다. 하나·우리·BC카드 등은 대표이사 연봉이 5억원을 넘지 않아 공시 대상에서 제외됐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