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억 벌 매장 포기했습니다… 억만금 줘도 포기 못한 건, 자연

수천억 벌 매장 포기했습니다… 억만금 줘도 포기 못한 건, 자연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21-04-28 20:50
업데이트 2021-04-29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더현대서울’ 설계 참여한 디에고 버디

높이 12m·넓이 740㎡ ‘워터폴 가든’
여의도·한강 상징 백화점 내 들여와
매장 30% 고객 휴식 공간으로 채워
‘체험형 힐링’ 오프라인만의 승부수
이미지 확대
더현대서울  ‘워터폴 가든’
더현대서울 ‘워터폴 가든’
쏟아지는 햇빛을 안고 시원하게 떨어지는 폭포수가 푸른 나무와 어우러져 잠시 삭막한 도시를 잊게 한다. 지난 2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 문을 연 더현대서울에 들어선 높이 12m·740㎡(224평) 규모의 인공폭포 ‘워터폴 가든’ 얘기다.

럭셔리 백화점·호텔 설계로 이름을 알린 캐나다 인테리어 전문회사 버디필렉은 온라인 시대 오프라인 리테일 기업의 고민을 받아 더현대서울 속에 ‘자연’을 펼쳐 놨다. ‘세상에 없던 새로운 백화점’이라는 콘셉트는 우주도 첨단기술도 아닌 물과 폭포로 재현됐다.
이미지 확대
디에고 버디 버디필렉 공동대표·크리에이티브 파트너(CP)
디에고 버디 버디필렉 공동대표·크리에이티브 파트너(CP)
버디필렉의 공동대표이자 크리에이티브 파트너(CP) 디에고 버디는 28일 서울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자연’을 새로운 백화점의 테마로 제시한 의도에 대해 “서울을 가로지르는 한강에 접목해 있는 여의도와 그 주변에 형성돼 있는 상징적인 시민들의 자연 휴식 공간을 더현대서울에 들여오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현대백화점은 백화점이 단순히 구매를 넘어 리테일 공간 내에서 고객들로 하여금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공간 낭비가 심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선 “더현대서울의 공간은 소비자들이 영감을 받고, 여러 가지를 배울 수 있고, 즐겁게 시간을 보내며 사교 활동을 할 수 있는 인큐베이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면서 “소비자들이 다각도에서 교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리테일 경험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고 나아가 삶을 우리 중심으로 다시 가져다줄 것”이라고 했다.

더현대서울은 매장의 30%를 워터폴 가든을 비롯한 고객 휴식 공간으로 채웠다. 서울 지역 현대백화점 의류 매장 한 곳당 매출이 평균 10억원에 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연간 수천억원의 매출을 포기한 셈이다.

여기에는 온라인 쇼핑이 대세가 된 지금 고객을 놓치지 않으려는 오프라인 리테일 기업의 치열한 고민이 녹아 있다. 체험형 힐링 공간을 늘리는 등 과감한 공간 변신을 통해 오프라인만의 승부수를 띄운 것이다.

디에고 버디는 더현대서울 이외에도 지난 10여년간 서울 갤러리아백화점 등 고급 리테일 기업의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에게 서울은 디자인 회사에 어떤 공간일까 물었더니 “서울은 혁신적이고 멋진 장소로 이루어져 있다. 그야말로 새로운 디자인 콘셉트를 시도할 수 있는 놀이터다. 처음부터 이 도시가 버디필렉의 디자인 언어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걸 직감했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21-04-29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