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인플레 압력 예상보다 커질 수도”

한은 “인플레 압력 예상보다 커질 수도”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1-07-19 17:56
업데이트 2021-07-20 0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내외 수요 늘고 물가 상승 가능성
“경기 회복 지키며 과한 유동성 방지”

한국은행이 앞으로 수요와 공급 양쪽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한은은 19일 발간한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 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보고서에서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 진행되는 경제활동 정상화 과정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경기 회복으로 억눌린 수요가 완만히 늘어나는 가운데 경기 부양책과 글로벌 성장세로 대외 수요까지 커지면 안팎으로 수요 압력이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공급 측면에서는 원자재값 상승과 해상 운임 급등이 물가 상승을 이끌 잠재적 요인으로 꼽혔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15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5월 전망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2%를 웃돌고, 낮아지더라도 2% 내외에서 등락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며 “국제 유가가 70달러를 웃도는 수준에서 등락하는 등 예상했던 것보다 높은 상승세를 보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지난 2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3%, 5월에는 1.8%로 전망한 바 있다.

중장기적으로 높아진 기대 인플레이션이 실제 물가를 밀어올릴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앞으로 경제 여건에 대한 불확실성과 원자재값 급등 우려가 기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면 실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외 공급 요인의 물가 상승 압력이 전이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일이 점차 중요해질 것”이라며 “이런 물가 상승 요인들을 고려해 앞으로 경기 회복세를 저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유동성의 과도한 확대를 방지해야 한다”고 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1-07-20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