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25/SSI_2021112513243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25/SSI_20211125132432.jpg)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올해 1~9월 보험사 경영실적에 따르면 국내 보험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이 7조 63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7.3% 증가했다.
생명보험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조 6915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573억원(17.8%) 증가한 수치다. 변액보험 등 보증준비금전입액 감소, 사업비 감소 등으로 보험영업이익은 개선됐으나 이자수익 등 감소로 투자 영업이익은 악화됐다는 분석이다.
손해보험사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3조 93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조 5158억원 늘어 62.6%나 증가했다. 코로나로 자동차 사용량이 줄면서 자동차보험 등의 손해율이 하락한 덕이다. 또 지난해는 롯데케미칼 폭발사고 등 고액 사고가 잦아 기저효과도 있었다고 금융당국은 설명했다.
전체 보험사 3분기 수입 보험료는 155조 6000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조2000억원(2.1%) 늘어난 수치다.
생보사 3분기 누적 수입보험료는 82조 241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15억원(0.9%) 증가했다. 상품별로는 변액보험(+9.6%)과 보장성보험(+2.4%)은 판매가 증가했고, 퇴직연금(-5.4%)과 저축성보험(-3.2%)은 감소했다.
손보사 3분기 누적 수입보험료는 73조 387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 4994억원(3.5%) 늘었다. 장기보험(+5.3%), 일반보험(+8.9%), 자동차보험(+3.8%)의 판매가 증가했으나 퇴직연금(-15.2%)은 크게 감소했다.
금융감독원은 “보험사의 당기순이익 개선은 생보사의 보험영업 증가세 둔화, 손보사의 손해율 개선 등 일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면서 “수익구조가 개선된 것으로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보험영업손실이 감소한 것은 코로나와 금리 상승 등 외부 요인에 의한 것으로 변동성이 크다는 평가다. 금융당국이 보험사의 수익 개선을 일시적 현상으로 평가한 만큼 내년 보험료 인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