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에 타 손상된 화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4/SSI_20220804124855_O2.jpg)
![불에 타 손상된 화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4/SSI_20220804124855.jpg)
불에 타 손상된 화폐
한국은행 제공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손상 정도가 심해 폐기한 손상화폐(지폐 및 주화)가 1억 9166만장, 액면가로는 1조 1566억원에 달했다.
지폐는 모두 1억 6943만장(1조 1541억원 어치)이 폐기됐고, 이 가운데 54.9%가 1만원권이었다. 이어 1000원권(38.7%), 5000원권(5.1%), 5만원권(1.4%) 순이었다. 2223만장(25억원 어치)이 폐기된 주화의 경우, 10원화(950만장) 비중이 42.9%로 가장 컸다. 폐기한 돈을 가로로 이으면 총 길이가 2만 4765㎞로, 경부고속도로를 약 30번 왕복한 수준이고, 위로 쌓으면 에베레스트산의 6배에 이른다.
다만 코로나19 확산세로 은행권 환수가 부진하고 화폐 사용이 줄어든 영향 등으로 상반기 중 폐기된 손상화폐는 1년 전(2억 2310만장)보다 14.1%(3144만장) 감소했다.
화재 등으로 지폐 일부 또는 전부가 훼손될 경우 남아있는 지폐의 면적이 75% 이상이면 액면가 전액을, 20~75%면 액면가의 절반으로 교환할 수 있다. 20% 미만으로 남아 있다면 교환이 불가능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