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식품 원료 관세율 낮췄지만
7월 식용유 56%, 밀가루 36%↑
“3분기 정점 찍고 4분기에 하락”
![선뜻 손이 안 가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5/SSI_20220815175828_O2.jpg)
오장환 기자
![선뜻 손이 안 가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5/SSI_20220815175828.jpg)
선뜻 손이 안 가네
15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한 시민이 매장에 진열된 가공식품들을 살피며 장을 보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2% 올라 2011년 12월(8.6%)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오장환 기자
오장환 기자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2% 올라 지난해 7월 이후 13개월 연속 상승한 것으로 15일 집계됐다. 2011년 12월 8.6%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식용유가 55.6% 올라 가장 크게 상승했고, 이어 밀가루 36.4%, 국수 32.9%, 부침가루 31.6%, 소금 27.9% 등의 순으로, 주로 수입 곡물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올랐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5/SSI_2022081517574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15/SSI_20220815175749.jpg)
이에 정부는 수입가격을 낮추고자 수입품의 일정 수량에 대해 한시적으로 관세를 낮추는 할당관세를 적용해 왔다. 지난 6월 대두유와 해바라기씨유, 밀, 밀가루, 돼지고기 등에 대해, 7월에는 소고기, 닭고기, 분유, 커피 원두, 주정 원료, 대파 등에 대해 관세 0%를 적용했다. 지난 11일에는 추석 민생안정 대책의 일환으로 양파, 감자, 변성전분에 할당관세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1~2분기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해 할당관세가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6월 할당관세 0%가 적용된 식용유와 밀가루는 전년 같은 달 대비 각각 40.3%, 36.8% 올랐고, 지난달에도 각각 55.6%, 36.4% 상승했다.
국제 곡물가격이 3분기에 하락해 국내 곡물 수입물가는 이르면 4분기에 하락세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곡제곡물 2022년 8월호’에서 3분기 국제곡물 선물가격지수가 지난 분기 대비 12.3% 하락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2022-08-16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