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장중 1340원 넘어
달러 인덱스 한때 108.26까지 올라
파월 ‘경기보다 긴축’ 유지 전망 속
26일 세계은행장 회의서 발언 주목
한미 금리역전·中 경기 침체 ‘악재’
中 금리인하로 원화가치 추락 우려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22일 전 거래일 종가보다 13.9원 오른 1339.8원으로 마감된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40원을 돌파했는데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1357.5원)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박윤슬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2/SSI_20220822170929_O2.jpg)
박윤슬 기자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22일 전 거래일 종가보다 13.9원 오른 1339.8원으로 마감된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40원을 돌파했는데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1357.5원)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박윤슬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2/SSI_20220822170929.jpg)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22일 전 거래일 종가보다 13.9원 오른 1339.8원으로 마감된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이날 원달러 환율은 장중 1340원을 돌파했는데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4월 29일(1357.5원) 이후 13년 4개월 만에 처음이다.
박윤슬 기자
박윤슬 기자
마켓워치에 따르면 유로화·엔화 등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 주는 달러 인덱스는 이날 한때 108.26까지 오르며 지난달 15일 이후 약 5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소 완화되는 듯하던 연준의 긴축 기조가 다시 강화되면서 달러 초강세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연준은 지난주 공개한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 기준금리가 미 경제성장을 둔화시키는 수준까지 상향돼야 한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힌 바 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2/SSI_2022082218321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22/SSI_20220822183219.jpg)
연준은 6월과 7월에 이어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 포인트 인상)을 밟았지만 그럼에도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8.5%로 연준의 목표치(2% 내외)보다 여전히 높은 상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에 따르면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는 9월과 10월에 각각 빅스텝(0.5% 포인트 인상)을 지나 12월에는 0.25% 포인트가 인상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 경우 미 기준금리는 연말 3.75%까지 치솟게 된다. 연말 금리를 3.5%로 보는 시선도 있다.
연말까지 달러 강세를 촉발하는 한미 금리역전 현상도 달러 강세를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미국 2.5%·한국 2.25%)에 시작된 금리역전 현상이 장기화하면 국내 자본시장에서 자금이 해외로 유출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더욱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다.
여기에 중국의 경기침체가 ‘글로벌 강달러’ 현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사실상 기준금리인 1년 만기 대출우대금리(LPR)를 3.70%에서 3.65%로 0.05% 포인트 인하했다. 주택 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5년 만기 LPR도 4.45%에서 4.30%로 0.15% 포인트 내렸다. 이번 금리 인하가 원화 가치를 더 끌어내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의 특성상 원화와 위안화 가치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때가 많기 때문이다.
2022-08-23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