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쌓인 컨테이너. 2022.8.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30/SSI_20220830062540_O2.jpg)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쌓인 컨테이너. 2022.8.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30/SSI_20220830062540.jpg)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쌓인 컨테이너. 2022.8.22 연합뉴스
●‘90% 의존 품목’ 절반은 중국산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9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2022년 상반기 특정국 의존 품목’ 자료를 입수해 이같이 집계했다. 올해 상반기 1000만 달러(약 133억원) 이상 규모 수입품 중 국가별 의존도를 셈했다. 특정국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인 품목을 많이 보유한 국가는 중국에 이어 일본(48개), 미국(27개), 베트남(9개), 러시아(8개) 등의 순이다.
한국의 차세대 주력 산업인 자동차 배터리 핵심 소재와 반도체 장비 소재·부품·장비 품목의 경우 대중, 대일 의존도가 높았다. 예컨대 상반기에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염을 11억 6540만 달러어치 수입했는데, 이 가운데 약 97%를 중국에서 들여왔다. 또 다른 배터리 핵심 소재인 산화코발트의 수입액은 9160만 달러인데, 이 중 89%가 중국에서 수입됐다. 인조흑연(91%), 수산화리튬(83%)의 중국 의존도도 높았다.
●웨이퍼 절단기 전량은 일본산
또 반도체 웨이퍼를 개별 칩으로 절단하는 기기는 전량이 일본산이다. 웨이퍼 제조용 도가니(99%),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현상·경화시키는 기계(98%) 등의 일본 의존도도 높다.
2022-08-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