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하반기 25% 늘어 4만명
무점포 취업자 수는 1만명 급감
공항 북적이자 여행업 종사자도 돌아왔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맞춰 지난해 하반기 여행사 및 기타 여행보조 서비스업 취업자 수가 1년 전에 비해 25%가량 증가했다고 통계청이 24일 전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에 설치된 여행사 부스를 찾은 여행객들.
연합뉴스
연합뉴스
통계청은 24일 산업 소분류별 취업자 통계를 제시하며 지난해 하반기 ‘여행사 및 여행 보조 서비스업’의 취업자 수를 4만명으로 집계했다. 2021년 하반기 3만 2000명에서 1년 새 8000명(25.0%)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2020년부터 내리막길을 걷던 여행업 관련 취업자가 2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여행객이 늘어나면서 일반 생활 및 숙박시설 운영업 취업자도 15만 7000명으로 전년 11만 9000명에서 3만 8000명(32.2%) 급증했다. 유원지 및 오락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는 4000명(3.5%), 항공 여객 운송업 취업자는 1000명(3.0%) 증가했다.
대외 활동이 늘어나면서 외식업 분야 일자리도 완연한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주점 및 비알코올 음료점업 취업자 수는 47만 90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7만 1000명(17.4%) 늘었다. 음식점업 취업자 수도 전년 대비 4만 3000명(2.8%) 늘어난 160만 7000명을 기록했다.
대중의 발길이 끊겼던 영화·전시 등 예술 관련 분야도 다시 살아났다. 지난해 하반기 영화·비디오물·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업 취업자 수는 9만 8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 1000명(27.8%) 늘었다. 창작·예술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 수도 1만 7000명(17.4%) 급증한 11만 6000명을 기록했다.
코로나19 확진자 급감으로 고용이 악화된 업종도 있었다. 비대면의 일상화로 급증했던 무점포 취업자 수는 지난해 하반기 36만 1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만 2000명(3.2%) 줄었다. 배달 음식과 택배 급증으로 호황을 누렸던 골판지·종이 상자 및 종이 용기 제조업의 취업자 수는 1000명(2.4%) 감소했다. 의료용품 및 의약 관련 제품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만 2000명으로 1년 새 2000명(1.5%) 줄었다.
2023-04-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